연구실 사고, ‘20대 학생 연구원’이 위험하다… 80%가 인재
27일 ‘제1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을 위한 과학기술단체 토론회’ 열려 대학, 기업 연구소, 연구기관 순으로 연구실 사고 다수 발생
[한국대학신문 허정윤 기자] R&D 100조 시대지만 여전히 그림자로 남아있는 연구실 사고에 대한 분석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대전 KAIST 정근모 컨퍼런스홀에서 ‘제1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을 위한 과학기술단체 토론회’를 개최하고 ‘연구실 안전의 현주소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연구실 안전 확보 방안을 위한 토론회는 앞으로 총 4회에 걸쳐 열릴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실 사고의 80%가 연구자 실수에 의해 발생했으며 20대 학생 연구원의 피해가 가장 컸다”고 전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대학, 기업 연구소, 연구기관 등의 순으로 사고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2019년 12월 경북대 화학관 연구실에서 대학원생 3명과 학부생 1명이 화학 폐기물 처리 도중 발생한 폭발사고가 있다. 이 사고로 대학원생 1명은 전신 3도 화상을 입었고 학부생 1명은 전신의 20%에 화상을 입는 인명 피해가 났다.
다행히도 대학 내 연구실 사고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그에 반해 연구기관과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실 사고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안전 강화를 위한 전담 인력·조직 확충과 교육·안전 의식 강화 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학 연구실 사고는 2018년 162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2019년 147건, 2020년 131건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연구기관과 기업 연구실 사고는 매년 소폭 늘고 있는 추세다. 기업 연구실은 2016년 18건에서 2020년 53건으로 사고가 3배가량 급증하는 등 안전 사고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강상욱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안전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의지가 필요하고 연구성과를 우선시하는 경영진 의식과 현장 풍토도 바뀔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토론회는 연구실 안전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됐다. 발제자로 나선 강 국장은 주제발표 자리에서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7대과제’를 제시했다. 강 국장은 “이 모든 과제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노력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급된 7대 과제로는 △안전관리 예산 확대 △연구안전 전문인력 확대 및 권한 강화 △학생연구자 보호 △안전교육 강화 및 의식 제고 △형식적 안전관리 탈피 △맞춤형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고예방에 첨단 과학기술 활용 등이 있다.
토론회에 참석한 과학기술계 대표들은 연구실 안전을 위해 ‘현장소통’과 ‘고도화한 안전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미래 성장 원동력인 과학기술 인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와 현장간의 소통이 필요하며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안전기술을 고도화 하는 방안 등이 필수라는 것이다.
대학과 기업연구소 대표들은 각 기관별 안전 주요 현안과 안전관리 우수사례 등을 공유했다. 참석한 모두가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해 연구자와 더불어 기관 관계자 모두의 안전의식 제고가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과기정통부 용홍택 차관은 “국가 R&D 투자는 우리 경제와 국민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과로 이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전한 연구환경이 필수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한다”면서 “한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처럼 미래를 이끌어갈 과학 새싹을 키우고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과학기술계 전체가 함께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연구실안전법을 제정한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 이광형 KAIST 총장, 이진숙 충남대 총장,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주세돈 포스코 기술연구소장 등 과학기술계 대표들도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