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인프라 고도화 위해 ‘대학나노인프라 혁신사업’ 추진

서울대, 한양대, DIGST, UNIST, 전북대, GIST 선정 3년간 총 270억 원 지원

2021-10-08     허정윤 기자
한국형 나노인프라 지원체계(KNCI) 기반 조성 (사진 = 과기정통부)

[한국대학신문 허정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대학 나노인프라 시설과 장비의 고도화를 위해 대학나노팹 인프라혁신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했다.

과기정통부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나노분야 연구·산업 수요에 대한 개방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글로벌 이슈인 반도체 기술개발, 인력양성을 지원한다.

지난 6월 25일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강원‧영남 △호남‧충청‧제주 3개 권역을 대상으로 한달이상 공고해 접수된 제안 건에 대해 과제수행 계획, 연구자의 역량, 기존 팹시설의 준비 정도, 개방형 서비스 및 인력양성에 대한 경험과 의지 등을 두 차례에 걸쳐 엄격히 평가했다.

평가 결과 서울대‧한양대‧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울산과기원(UNIST)‧전북대‧광주과기원(GIST)가 선정됐다. 이들 대학은 향후 3년동안 보유하고 있는 나노팹 시설‧장비를 고도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권역의 연구‧산업 관련 팹시설 이용수요를 개방형서비스 기능을 강화해 지원하게 된다.

기존에도 개방형 서비스를 수행해온 대학들이 있지만 이번 투자를 계기로 한층 고도화된 팹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에 선정된 6개 대학은 기존 6대 국가나노인프라 기관들과 협력해 각 권역별로 지역나노인프라 협력체계를 갖추고 해당 지역의 연구‧산업‧인력양성 수요지원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각 컨소시엄에는 향후 3년간 총 270억 원 지원될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국내에 산재된 나노인프라 역량을 통합 연계해 공동 지원하는 원스톱서비스 시스템 구축도 추진 예정이다.

종전까지는 수요자가 개별 나노팹과 접촉해 서비스를 의뢰해야만 했다. 해당 팹의 서비스 수준을 넘어서는 범위에 대해서는 국내외의 다른 팹을 조사해 본인이 직접 여러 차례에 걸쳐 추가의뢰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 나노팹들 사이의 장벽을 허물고 통합 접수ㆍ서비스가 가능한 원스톱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동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요청내역을 분석해 기관간 연계서비스를 디자인하는 코디네이터 기능도 필수적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대학나노인프라혁신사업과 나노인프라연계지원사업은 지난 4월 수립된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나노팹고도화 정책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며 “이번에 선정된 대학들이 기존 국가나노인프라들과 역할을 잘 분담해 지역의 나노‧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시제품 제작, 인력난 해소 등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