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 전문가 ‘한자리에’…지역대학 중심 평생학습 생태계 조성 ‘공감대’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새 정부 자치분권·지역혁신의 방향과 교육의 역할’ 토론회 개최 김제선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장 “尹 당선인, 평생교육 공약 공감…새 정부 정책 설계 기대”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국민 삶의 질 개선, 지역혁신 추구…전국 평생교육 균형발전이 관건” 권인탁 전 한국평생교육학회장 “교육부·기재부·고용부 구성된 고등직업교육재정 시스템 운영해야”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 “전문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탁월…HIVE 사업 더 키워야”

2022-04-21     김의진 기자
21일 서울 중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새 정부 자치분권·지역혁신의 방향과 교육의 역할’을 주제로 한 평생교육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김의진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모든 국민의 평생학습 기회를 보장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에 대해 학계 전문가들은 새 정부 평생교육 분야 정책이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설계·추진돼야 한다고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들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대학이 직업교육훈련기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재정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법제 정비 필요성에 적극 공감했다.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는 21일 서울 중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새 정부 자치분권·지역혁신의 방향과 교육의 역할’을 주제로 평생교육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전국평생학습연석회의 등 평생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공약에 평생교육, 지역혁신, 자치분권 분야가 담긴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들은 평생교육이 국가의 중대 정책 영역이 돼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학교 교육 중심의 낡은 교육 시스템을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제선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평생교육에 대해 전 국민의 생애 단계별 직업능력 개발과 일터 학습을 지원하겠다고 공약으로 약속했다”며 “윤 당선인의 포부와 약속을 현실로 만드는 길에 다 함께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평생교육은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주민의 사회 참여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새 정부가 추구하는 자치분권과 지역혁신이 성공하기 위해 17개 시도 평생교육이 고르게 발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평생교육 체제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지방대·전문대 위기를 극복하고자 지역대학의 역할·구조 전환은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지역대학의 역할 강화를 위해 국가·지자체가 협력하고 대학 실정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권인탁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전 한국평생교육학회장)는 “지역대학이 평생교육을 기반으로 역할을 강화하려면 국가 차원의 체계적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대통령 직속 고등평생직업교육개혁위원회를 설치하고 교육부·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로 구성된 고등직업교육재정 총괄 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반대·전문대의 기능·역할에 맞는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일반대는 연구중심대학, 취업중심대학으로 구분하고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학부 정원은 줄이되 대학원 정원을 늘리는 식이다. 전문대는 지역의 평생직업교육을 책임질 수 있도록 기능을 조정한다. 권 교수는 “필요하다면 한국폴리텍대 지역 캠퍼스와 연계하는 등 준공영화를 추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고 했다.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은 “평생직업교육은 직업능력 향상교육에 해당하므로 고등교육기관 중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전문대가 이를 주도하는 것이 합당하다”며 “지금은 일반대에서 전문대에 적합한 전공임에도 불구하고 우후죽순으로 설치하는 등 고등교육기관 간 역할 분담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한 원장은 이어 “전문대는 연구보다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용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며 “기초자치단체와 소규모 전문대가 중심이 돼 효율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해 교육부 신규사업인 기초자치단체-전문대 간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을 더 키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이날 토론회에서는 △최돈민 전국평생학습연석회의 공동대표(상지대 교수)의 ‘인구위기 시대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와 정책 개선 과제’ △권인탁 전북대 교수(전 한국평생교육학회장)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지역대학의 역할과 구조 전환 과제’ △김현수 순천향대 교수(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연구분과위원)의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 인프라 구축 과제’ 등 발표가 진행됐다.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이어진 종합 토론은 정민승 한국평생교육학회장(한국방송통신대 교수)의 진행으로 △곽상욱 오산시장(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장)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 △김종남 대전평생교육진흥원장 △이재주 한국평생교육사협회장 등이 참여했다.

특히 곽상욱 오산시장은 이날 지방 자치분권·평생학습 활성화에 대한 정치권의 무관심을 지적했다. 곽 시장은 “지역혁신·자치분권·평생학습의 성공을 위해 각 분야의 수많은 이들이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면서도 “정책 토론회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지자체장 등이 참석했는데 국회의원은 왜 단 한 명도 자리하지 않는지 의문이다. 국회의 이런 무관심이 지역소멸 위기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