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나와도 임용고사 합격률 절반에 그쳐…“교원 수급 방안 마련해야”
2024학년도 전국 10개 교대 및 교원대 졸업생 3463명…임용고사 합격생은 1792명, 51.7% 강득구 의원 “초등학교 임용 절벽 현실화 예견된 일…교원 수급 관련 교육당국 대책 마련 시급”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교대를 졸업해도 임용고사 합격률은 절반에 불과해 교원 수급에 대한 교육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전국 10개 교육대학교 및 한국교원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전국 10개 교대 및 교원대를 졸업한 학생 수는 3463명이었다. 이 중 합격생 수는 1792명으로 51.7%에 불과했다.
2024학년도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졸업생 107명 중 합격생은 67명으로 가장 높은 합격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전국 10개 교대를 분석해보면, 서울교대가 62.01%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교대 57.10% △전주교대 53.9% △진주교대 52.82% △부산교대 52.58% 순이었다. 반면 경인교대·청주교대·춘천교대의 경우 임용고사 합격률이 절반도 되지 않았다.
2021년 강득구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를 제외한 전국 12개 교대의 평균 임용률은 2020년 기준 62.1%로 3년 전과 비교해 12.3%p 감소했다. 이를 바탕으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신규 초등교사 채용이 감축됐고, 교대 정원은 13년째 동결된 상황에서 교대를 졸업해도 교직의 꿈을 접고 다른 진로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최근 교육부는 전국 교대 측과 협의를 거쳐 내년부터 입학정원을 12% 감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초등학교 임용 절벽 현실화는 이미 예견된 일로 임용고사 합격에 대한 경쟁률 상승뿐만 아니라, 합격하고도 발령을 못 받는 임용 적체 상황까지 이어진다”며 “교원 수급에 대한 교육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 의원은 “동시에 과밀학급 해소와 기초학력 보장 등 양질의 공교육을 위해 적정 교원 수를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도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