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C 3.0 우수대학/동원과학기술대학교] 지역산업 선도형 필드서비스(Field Service) 창의융합 인재 양성 대학
지역산업 선도형 스마트기계설비·모빌리티기계부품·항노화산업ICC 운영 ‘동행창업 EPS(Expert&Student&Professor) 체제’ 통해 학생 창업 의지 제고 산학연과의 연계를 통한 창의융합형 ACE-UP 교수학습 모델 개발·운영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동원과학기술대학교(총장 손영우)는 시대의 흐름을 선도하고 앞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척해 나가는 데 앞장선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체와 지역사회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동원과기대는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LINC 3.0)을 토대로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체계화된 산학협력 프로그램 플랫폼을 구축해 산학협력 수행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한 산학연 연계 창의융합형 ACE-UP 교수학습 모델 개발·운영과 함께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의 캡스톤디자인 확대 강화 등을 기반으로 4차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발굴에 매진하고 있다.
링크(LINC) 3.0 사업을 토대로 한 대학의 성취 목표는 △산학협력 기반 고도화 △창의실용인재양성 △기업연계 기술사업화 정착 △지자체·기업과의 공유협업 체제 구축에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계설비ICC △모빌리티기계부품ICC △항노화산업ICC의 3개 센터를 설치해 신산업 첨단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인력양성 체제를 구축했고, 지역 중소기업과 지원을 위한 공용장비활용센터를 설치해 첨단장비 공동 활용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지역민 평생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HiVE지원사업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을 통한 지방대학 활성화 지원사업(대학혁신II유형) △고숙련 일학습병행(P-TECH) △재학생단계 일학습병행사업 △재직자단계일학습병행사업 △마이스터대지원사업 유치 등과 연계해 대학-지자체-산업체와의 동행 협력으로 명실상부 지역사회에 가장 필요한 대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지역산업 선도형 전문 기술교육과 기업 동반성장 서비스 고도화 = 동원과기대의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LINC 3.0)은 지역의 산업을 선도하는 전문 기술교육을 바탕으로 기업의 기술가치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지역산업에 기반을 둔 △스마트기계설비ICC의 냉동아카데미 △모빌리티기계부품ICC의 UAM아카데미 △항노화ICC의 치매예방교육을 대표 모델로 구축하고, 전문 기술 재직자와 지역민을 위한 교육을 통해 대학만의 고유한 전문 기술교육의 브랜드를 구축했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체계화된 산학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원스톱 기업지원 시스템’을 갖췄으며 지자체와 울산경남 지역혁신 플랫폼과 협력해 ‘중소기업 첨단기술지원 센터’를 구축했고 공용장비활용센터·기업협업센터와 연계한 산학공동기술개발·기업애로기술지도 등 기업 기술가치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을 기반으로 교원의 연구역량을 확대해 교육에 접목시키고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 체제를 토대로 신산업 기술 개발 활동 지원과 지식재산권 등의 성과물 양성·지식정보 교류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산학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나가고 있다.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동행 캠퍼스 = 대학의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은 지역과 함께하는 지역 거점 중심대학이 돼야만 한다. 이에 동원과기대는 링크(LINC) 3.0 사업을 기반으로 올해로 제3회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OPEN CAMPUS DAY’ 행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지자체와의 연계 행사로 대학 캠퍼스 공간을 활용해 대학·지역 산업체·지역민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기반으로 지역에서의 대학 위상을 제고하고 전공과 연계한 재학생의 지역 나눔 활동을 토대로 한 지역민과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는 데 있다.
동행나눔 과정으로는 △빵 장인에게 배우는 베이킹 클래스 △가족과 함께하는 최고의 쿠키 레시피 △나만의 컬러 퍼스널 컬러 찾기 △셀프 헤어 스타일링 △스포츠마사지 배우기 △테이핑요법 배우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어울림 △호텔쉐프와 함께하는 대회요리 △유아숲생태교육 체험하기 등 지역민 전체와 함께 할 수 있는 14개 전공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민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기대 이상으로 나타났고 점차적으로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확산해 지역 특화 행사로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 창업교육체제에 기반한 창의적 인재 양성 = 창업 도전이 막연한 대다수 학생들과 창업 도전 의지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행창업 EPS(Expert & Student & Professor) 체제’ 즉 △창업아이템 개발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화 브리핑 자료 만들기 △제안서 발표 △창업 사업화 준비 단계까지 전문가 멘토와 지도교수가 함께하는 창업 교육 지원으로, 7단계 창업과정 이수체제(창업인재유치과정-창업아이템유지과정-창업기본이수과정-열정창업캠프과정-소자본창업판매과정-창업역량강화과정-창업도전컨설팅과정)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2년제 대학 과정에서 졸업과 동시에 학생들이 창업으로 이어가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점을 감안해 창업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 병행해 창의력 발상 능력과 상황 대처 능력 등을 향상시키고 습득하게 함으로써 사회·직장 생활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향후 직업과 연계해 창업이 필요할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을 토대로 창업교육을 꺼리는 학생의 만족도가 95% 이상 나타나는 성과를 내고 있다.
■ 미래 신산업 UAM(도심항공교통서비스) 아카데미 개설 = 지역 주력 산업인 항공 분야는 항공기를 활용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제작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핵심 미래 산업인 항공 모빌리티 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으로 확대되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항공 분야 재직자 신기술 교육으로 △UAM 발전 방향 △정비 실습 △설계 Tool 활용 등 5일간 25시간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미래 항공 기술에 대한 새로운 항공 시장에 대한 사전 준비와 수요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개설과 실습 중심 교육으로 참여 교육생의 성취도와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동원과기대는 점진적으로 UAM 분야의 다양한 수준별·직무별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 내실화를 위한 UAM 기체 구입·실습 장비 구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산업 인재 양성 아카데미를 더욱 확대 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 LINC To You ‘드림하우스’ 협업 모델 운영 =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은 대학 소명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지역사회 애로사항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동원과기대가 소재한 양산지역은 도농 복합도시 형태로 노령인구 거주 비율이 높은 지역이 다수 존재하고, 정주 여건 개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점을 반영해 지역사회와의 정주 여건 활성화를 위한 협업 모델로 ‘LINC To You 드림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지역 내 주거 환경 개선이 필요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거 환경 개선을 1차 목표로 설정해 사단법인 한국BBS(Big Brothers and Sisters) 양산지회와 대학 교직원과 학생이 지역 봉사를 위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첫 시행 성과로 2개 저소득층 가구를 선정한 뒤 드림하우스를 진행해 참여 학생의 봉사의식 함양과 지역 거주 환경 개선 지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향후 지자체와의 협업을 토대로 지역 문제 해결 지원 프로그램을 폭넓게 개발해 지역 발전을 위해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인사말] 손영우 총장 “라이즈(RISE) 체계와의 연계 통한 링크(LINC) 3.0 사업 성과 고도화할 것”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손영우입니다.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 사업(LINC 3.0)이 종료됐으며 링크(LINC) 3.0 사업 기간 동안 노력해 주신 대학 구성원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링크(LINC) 3.0 사업은 ‘미래인재 양성과 산학일체형 전문대학 육성’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미래산업 대비 인재양성 체계화’ ‘고부가가치 창출 산학일체형 전문대학’ ‘산학연협력 지속성 제고 기반 강화’ ‘함께 성장하는 공유·협업 생태계 조성’ 등 4대 추진전략을 토대로 전문대학의 산학협력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우리 대학은 링크(LINC) 3.0 사업을 바탕으로 그동안 정체됐던 △대학의 산학협력 지원 체계 조직화 △교원의 산학협력 역량 강화 △지역기업과 지자체와의 공유·협업 활성화 등을 토대로 많은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또한 대학의 인사제도를 개편해 교원의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평가에 반영해 지속적인 교원 산학협력 활동에 대한 추진 동력을 마련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역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양산시 혁신센터 내에 ‘중소기업 첨단기술지원센터’와 대학 내 ‘공용장비지원센터’ 등을 구축해 지역기업들의 설계기술과 3D프린트 직무역량을 강화시켰습니다. 특히, 산업체와 대학 교육과의 인식 격차를 줄이기 위해 혁신적인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 취업률 향상과 지역 정주 여건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우리 대학은 △단기과정 △전문학사과정 △전공심화과정(학사과정)·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으로서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오는 2025년부터 시행되는 라이즈(RISE) 체계 사업과 연계시켜 링크(LINC) 3.0 사업에서 창출한 우수한 성과를 더욱 고도화시켜 추진해 갈 계획입니다.
2024년은 링크(LINC) 3.0 사업을 마무리하는 시간으로서 대학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해 링크(LINC) 3.0 사업이 추구하는 목표 달성을 라이즈(RISE) 체계에서 달성하고자 지역기업·지자체·지역대학과의 지속적인 공유·협업 관계를 형성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길을 함께 찾아가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