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수시특집/인하공업전문대학]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전문기술인재 양성소… “인하공전이라서 가능”
공학계열 학과 대상 ‘자유전공학부 신설’, 1학년 2학기에 전공 선택 자격증 장학금, 유턴 장학금, 지도교수추천 장학금 등 풍성한 지원 ‘실무형 인재’ 양성, ‘현장미러형 실습실’ 운영해 직무능력 강화 집중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인하공업전문대학(총장 김성찬)은 전문기술교육을 바탕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1958년 민족 직업 교육기관으로 설립됐다. 인하공전은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대학이다. 개교 이래 전문기술교육의 영역을 확장해 궁극적으로는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지식을 갖춘 유능한 전문 직업인을 배출해 오랜 시간 동안 11만 5000명의 졸업생이 전 세계 산업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25학년도에는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했다.
■ 2025학년도 자유전공학부 신설 = 자유전공학부는 공학계열 학과를 대상으로 신설됐다. 전공을 미리 정하지 않고 1학년 1학기 동안 다양한 교과목을 이수한 후 본인에게 맞는 전공학과를 선택하는 학부다. 1학년 2학기부터는 선택한 학과에서 수업을 들으며 해당 전공으로 학위를 받는다.
1학기 동안 다양한 전공을 탐색하며 자기 적성과 관심사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낸다. 전공을 선택해야 하는 시기는 1학년 2학기다. 공학계열 19개 학과 중 하나의 전공을 선택해 해당 전공의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2025학년도 수시에서 정원의 95%인 2420명 선발 = 인하공전은 2025학년도 입학정원 2543명 중 수시 1차에 1776명(70%), 수시 2차에 644명(25%), 두 번의 수시모집에서 2420명(95%)의 학생을 선발한다. 수시 선발 비율이 전년도와 동일하다. 수험생들의 성적 부담을 덜기 위해 1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총 5개 학기 중 최우수 1개 학기의 학생부 내신등급을 100% 반영한다.
수시 1차 모집 전형별로는 일반고 전형(1377명), 특성화고 전형(374명)과 어학 특기자 전형(25명)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어학 특기자 전형은 출신고교 유형도 무관하고 내신성적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TOEIC 600점 이상이거나 TOEIC Speaking 120점 이상의 기준점수를 취득했다면 항공기계공학과와 항공운항과에 지원할 수 있다. 어학 특기자의 성적 반영 방법은 항공기계공학과는 어학성적 100%로, 항공운항과는 면접성적 100%로 선발한다.
수시 1차 원서접수는 2024년 9월 9일부터 10월 2일까지, 면접고사는 2024년 10월 19일부터 10월 20일까지다. 수시 2차 원서접수는 2024년 11월 8일부터 11월 22일까지다. 면접고사는 2024년 12월 7일부터 12월 8일까지다. 정시 원서 접수는 2024년 12월 31일부터 2025년 1월 14일까지다. 정시 면접고사는 2025년 1월 18일이다. 면접은 항공운항과, 항공경영학과,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만 진행한다.
■ 대학 홈페이지서 ‘면접 연습 안내 영상’ 공유 = 인하공전은 예비 인하인들을 위해 대학 홈페이지에 면접 연습 안내 동영상을 탑재했다. 내용은 면접 안내 영상과 면접 연습 영상으로 구분돼 있다. 면접 안내 영상에서는 면접에 필요한 준비물과 복장, 전반적인 면접 진행 과정을 소개한다. 면접 연습 영상은 인사하기, 걷기, 바르게 서기, 미소 짓기, 답변하기로 구성돼 있다. 면접 시간은 원서 접수 시 정해진 면접일 안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2025학년도부터 모집요강에 면접학과(항공운항과, 항공경영학과,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의 예상 질문을 안내하고 있다.
■ 전체 수석 입학자에게 수업료 전액 지급 등 풍성한 장학금 혜택 = 인하공전은 다양한 장학금 제도로 등록금 대비 약 55%의 장학금을 지급해 정부 시책에 맞는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고 있다. 인하공전의 신입학 장학금 제도는 전체 수석 입학자에게 재학 기간 수업료 전액을, 전체 차석 입학자에게는 1년간 수업료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한다. 수시모집에서는 각 학과별 일반고/특성화고 전형을 구분해 각각 성적우수자에게 입학 학기 수업료 전액의 장학금이 지급되고, 이와는 별도로 특기자(어학) 전형은 학과별 1명에게 입학 학기 수업료 전액 장학금이 지급된다.
인하공전의 특별한 장학제도로는 ‘자격증 장학금’을 꼽을 수 있다. 재학 기간 중 취득한 자격증에 대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가 전문대졸이상 전형으로 입학하면 ‘유턴 장학금’을 지급한다. 장애학생의 안정적인 학업 유지를 위해 올해 장애학생장학금을 신설했다. 이밖에 교내에서 다양한 경진대회를 주최해 수상자들을 위한 포상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 ‘현장중심 교육’으로 대학-산업 간 ‘교육 연계성’ 강화 = 인하공전은 현장중심 교육 실천으로 재학생의 현장 적응 능력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업체 인사가 학과 산학협동위원회·교육과정개발위원회에 참여해 산업 현장의 교육 요구사항을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고 있다.
산업체 전문가·재직자는 전공 교과뿐만 아니라 자격증 특강, 취·창업동아리, 기술·직무 멘토링 등 비교과 교육에 교·강사로도 참여한다. 시제품 기술 개발사업도 공동 운영하고 있다. 산업 현장과 유사한 환경의 실험·실습 기자재를 갖춘 현장미러형 직무실습실을 구축했다.
메카트로닉스공학과는 지난해 유니버설 로봇 코리아와 업무 협약을 맺고 로봇제어실습실을 열었다. 조선기계공학과는 노후화된 회류수조실험실을 선외기정비실습실로 바꿔 선외기 엔진에 대한 자가정비·유지보수, 응급조치요령 등을 습득할 수 있게 했다.
항공기계공학과는 항공전자계기응용실습실을 구축했다. 자동차공학과는 미래자동차 산업전환 트렌드에 발맞춰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관련된 장비를 확대하고 있다.
■ 지식기반 ‘융합형 산업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 = 인하공전은 △제조산업△IT융합 △Bio헬스 △항공운송 △관광·레저 등 5대 특성화 영역을 정하고 바이오헬스케어공정ICC, 친환경스마트모빌리티ICC, 스마트로봇융합ICC 3개의 기업협업센터(ICC: Industry Coupled collaboration Center)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2030년까지 이들 센터를 완전히 자립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기업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신산업 분야의 창의적 융합 전문기술 인재를 양성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한 산학연계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인하공전은 기업협업센터를 중심으로 성장형 산학협력 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 대학 이렇게 뽑는다] 수시 1, 2차에 각각 다른 학과를 지원하는 방법도 권장
인하공전은 복수 지원이 불가능하고 수시 1차와 수시 2차 각 1회씩 지원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70%를 선발하는 수시 1차에 본인이 원하는 전공을 정해 합격 가능성이 높은 학과에 지원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수시 1차에 합격해도 수시 2차에 지원할 기회가 있으므로 수시 1, 2차에 각각 다른 학과를 지원해 최종 한 학과를 선택하는 방법도 권장한다. 이번에 신설한 자유전공학부는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1학기의 전공탐색 기간 후 1학년 2학기에 전공을 선택해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검토하여 지원해보기를 권한다.
인하공전은 4년제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학사학위 전공 심화 과정도 9개 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다. 컴퓨터정보공학과, 컴퓨터시스템공학과, 건축학과, 실내건축학과는 1년 과정을 더 마치면 4년제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다. 자동차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항공운항과, 관광경영학과는 2년간의 수업을 이수하면 학사학위를 받는다.
■ 입학 홈페이지: https://ipsi.inhatc.ac.kr/ipsi/index.do
■ 입학 상담 및 문의: 032-870-2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