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논단] 대학의 국제화는 국가 산업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조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장(고등직업해외인재유치협의회 사무총장)

2024-11-27     한국대학신문
조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장(고등직업해외인재유치협의회 사무총장)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해 본격적으로 대학들이 뛰어들기 시작했다. 숫자로 증명이 된다. 교육부가 발표한 ‘STUDY KOREA 300K’의 양적 목표는 2027년까지 30만 명이다. 2024년 4월 기준 20만 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현재 추세로 보명 양적 목표는 2027년까지 가지 않더라도 조기 달성이 될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양적 목표보다 더 중요한 것이 ‘왜 우리는 유학생을 유치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계속 답을 해야 하는 것이다. 학령인구 부족으로 학생 수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약해진 대학 재정의 보충을 위해, 국가 산업적으로 부족한 생산가능인구를 양성하기 위해, 또는 대학의 글로벌 전략의 일환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하나의 이유보다는 복합적 이유 때문에 ‘유학생 유치’라는 국제화 전략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먼저 양적인 목표를 갖고 따져보자. 국가 산업적으로 얼마나 많은 유학생이 ‘학업-취업-정주’의 트랙을 밟는 게 합리적일까? 2023년 기준으로 유학생들의 졸업 후 국내 취업률은 6%에 못 미친다. 국제적으로 보면 캐나다가 22% 정도의 유학생이 졸업 후 취업을 한다. OECD 평균으로 보면 10.5% 정도다. 일본의 경우 2022년 기준으로 14.5%가 일본 내 취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10년 앞서 유학생 정주 전략을 국가적으로 채택한 결과 6%였던 유학생 취업률을 14.5%까지 끌어올렸다. 우리의 경우 생산가능인구가 25~30만 명이 매년 부족한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 유학생 졸업생의 취업률을 6%에서 적어도 10%, 장기적으로 15% 정도로 끌어올려야 일정 부분 국가의 부족 산업 인력과 생산가능인구 부족 문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교육부뿐만 아니라 법무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서 외국인 유학생 취업 비자 개선을 위해 많은 제도와 사업을 만들어 내놓기 시작했다. 비자제도 개선을 위한 지방정부의 움직임도 발 빠르다. 9월 말 법무부가 내놓은 ‘이주민 300만 시대 출입국·이민정책’에서 광역비자를 비롯한 새로운 비자제도 신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기업의 생산뿐만 아니라 부족 산업 인력 분야는 요양간병, 농업, 도소매 서비스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축소사회로 이행되는 전환기에 와있는 한국 사회에서 보면 유학생의 취업과 정주 문제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가 됐다.

대학은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유학생 유치를 준비해야 한다. 이제는 실행이 중요하다. 전문대학의 역할은 더욱 커졌다. 고등직업교육 분야를 담당하는 전문대학의 입장에서 보면 체계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할 준비를 해야 한다. 우선 대학 내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인프라는 인적 인프라와 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인적 인프라는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학의 전체 인적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유학생이 학생 구성원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입학, 교무, 학사, 그리고 학생처가 함께 조직 내에서 유기적 협조가 가능하도록 조직을 유연한 애자일(Agile) 조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유학생을 유치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은 유학생 수가 증가할수록 더 중요해진다. 법무부가 주관하는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 운영센터,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세종학당’,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TOIK 운영센터’ 등도 인프라 구축의 대상이 된다. 이와 함께 ‘뿌리산업양성대학’ ‘외국인 유학생 일·학습병행 운영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소기업 인력양성 대학’ 등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에 있어서도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계돼 있다. 이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인프라 구축은 하루아침에 되질 않는다. 결국 대학 전체가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재설계 해야 한다. 전문대학은 더욱 그러하다.

<한국대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