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DEI 정책 폐지에…美 대학들 연구 중단·사무실 폐쇄
현지시각 31일 “DEI 프로그램 및 특혜 종식” 행정명령 발표 대학들 DEI 관련 연구비 중단 우려…연간 830억 달러 규모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1일(현지시각) “급진적이고 낭비적인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및 특혜를 종식한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국립과학재단(NSF)은 모든 연구비 보조금 심사를 일시 중단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주요 대학들은 핵심 연구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관련 사무실을 폐쇄하는 등 비상 대응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 대학들이 연방 정부로부터 받는 연구비는 연간 총 830억 달러(약 110조 원)에 달한다. 특히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캠퍼스(8억1500만 달러) △존스홉킨스대(7억5000만 달러) △미시간대 앤아버캠퍼스·워싱턴대·펜실베이니아대(각 6억 달러 이상) 등 주요 대학들은 연방 연구비 의존도가 높아 이번 조치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학들은 트럼프의 행정명령 발표 이후 DEI 관련 연구 및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있다. 애리조나주립대는 연방 지원을 받는 DEI 프로젝트를 즉각 중단했으며, 미시간주립대는 DEI 웨비나를 취소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는 교수진의 DEI 관련 연구 참여를 전면 금지했다. 미주리주립대는 다양성 채용 정책을 폐지하고 ‘포용적 참여 사무실’을 폐쇄했다.
제이콥 슈워츠 애리조나대 암훈련·교육 부국장은 “우리 대학은 국립보건원과 국립과학재단으로부터 연간 1000만 달러 이상의 DEI 관련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다”며 “숙련된 연구 인력이 빠져나가면 암 치료 연구를 비롯한 중요 프로젝트들이 중단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스티븐 잘츠버그 존스홉킨스대 컴퓨터생물학자는 “DEI 프로그램이 에이즈 치료제 개발, mRNA 백신 기술 발전, 암 면역치료법 개발 등 미국 의료 혁신의 핵심 역할을 해왔다”며 “연구비 지원이 중단되면 대학원 신입생 선발도 보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DEI 정책은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의 약자로, 학교·직장·공공기관에서 채용 및 인사 단행 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해 포용적 조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는 DEI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전면 폐지를 지시하면서 미 전역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