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구직자, 정년 연장 찬성 46%…청년 일자리 영향 의견 분분

청년 일자리, 응답자 44% “큰 변화 없을 것” vs 43% “일자리 감소 우려” 대책으로 ‘고령 근로자 임금 체계 조정’, 청년층 채용 지원 강화’ 등 꼽혀

2025-02-20     윤채빈 기자
(표=캐치)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맞물리며, 정부와 노동계는 중장기 노동시장 정책을 활발히 논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년 연장’이 주요 대책으로 떠오른 가운데, Z세대 구직자들 사이에서 정년 연장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 정년 연장 찬성, 46%…주요 이유는 고령화 사회 대응 = 지난 14일 채용 플랫폼 ‘캐치’(CATCH)가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Z세대 구직자 1592명 중 46%가 정년 연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응답 옵션인 ‘잘 모르겠다(22%)’, ‘현재 정년 유지(20%)’, ‘정년 단축(12%)’보다 높은 수치다.

정년 연장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고령화 사회 문제 개선(7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서 ‘연금 및 세금 등 사회적 부담 감소(15%)’, ‘숙련된 인력 활용(8%)’, ‘세대 간 지식 및 경험 공유 강화(2%)’ 등이 제시됐다.

반면, 정년 연장에 반대하는 이유(총 32%)로는 ‘취업 기회 감소 우려’가 6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승진 및 성장 기회 축소’(17%), ‘조직의 혁신 저해’(14%) 등 순이었다.

■ 청년 일자리 영향, 의견 엇갈려 = 정년 연장이 청년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은 크게 엇갈렸다. 응답자의 44%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한 반면, 43%는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다’라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정년 연장이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는 ‘고령 근로자의 임금 체계 조정(3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청년층 채용 지원 강화(29%)’, ‘정년 이후 유연한 고용 형태 도입(19%)’, ‘고령 근로자의 근무시간 단축(13%)’등이 제시됐다.

정년 연장에 대한 Z세대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윈윈(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에서 “법 개정을 통한 일률적인 정년 연장은 청년 취업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밝히며, 법적 정년 연장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정년 연장이 청년층 일자리에 미칠 영향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청년 채용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고령 근로자의 역할을 조정하는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