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대입에서 탐구 가산점 영향력은?…“가산점 고려한 탐구 선택 필요”
성적·표준점수 합 동일해도 가산점에 따라 총점 달라져 대학·학과별 탐구 가산점 고려해 정시 과목 선택해야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2025학년도 대입부터 많은 대학에서 탐구 과목에 가산점을 도입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진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서는 사탐과 과탐을 한 과목씩 응시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눈에 뜨게 증가한 바 있는데, 탐구 가산점도 함께 고려해 본인에게 유리한 대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대입에서 가산점은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학생 A, B, C의 성적표를 활용해 구체적인 영향력에 대해 살펴봤다.
학생 A, B, C의 국, 영, 수 성적 및 표준점수 단순 합은 모두 동일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수능 선택과목의 차이다. 학생 A는 사회탐구 2과목, 학생 B는 사회탐구 1과목&과학탐구 1과목, 학생 C는 과학탐구 2과목을 응시했다. 2025학년도 연세대 정시 모집 요강을 기준으로 인문계열에 지원 시 사회탐구를 응시하면 과목별 3%를, 자연계열에 지원 시 과학탐구를 응시하면 과목별 3% 가산점을 받는다. 세 학생이 각 국어국문학과(인문계열)와 기계공학부(자연계열)에 지원한다고 가정했을 때 대학환산점수가 어떻게 달라질까.
학생 A가 국어국문학과에 지원하면 탐구 영역 두 과목에 각각 3% 가산을 받아 점수는 703.40점이다. 학생 B는 한 과목에만 3% 가산을 받아 702.66점, 학생 C는 가산점을 받지 못해 700.99점을 받는다. 학생 A보다 백분위 합이 조금 더 높음에도 가산점을 덜 받아 환산점수에 차이가 발생한다.
반대로 기계공학부에 지원한다고 가정해 보면 학생 A는 사회탐구 2과목을 응시했기 때문에 가산점을 받지 못해 695.12점, 학생 B는 과학탐구 1과목을 응시해 3% 가산을 받아 700.88점, 학생 C는 탐구 영역 두 과목에 각각 3% 가산점을 받아 705.28점이다. 백분위 단순 합을 기준으로 보면 학생 A가 학생 B, C에 비해 1점 낮은 수준이지만, 가산점 부여에 따른 대학별 환산 점수에서는 약 10점 차이가 난다.
이른바 혼합 선택(사탐+과탐) 시 가산점을 받지 못하는 과목은 얼마나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하는지 알아봤다. 표준점수 총합이 같고 백분위 총합은 다른 두 학생의 경우 수학 선택 과목은 모두 미적분으로 차이가 없다. 하지만 학생 D는 과학탐구 두 과목을, 학생 E는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각각 한 과목씩 응시했다. 2025학년도 숭실대 정시 모집 요강 기준으로 전기공학부(자연계열1)는 미적분/기하를 선택하면 7%를, 과학탐구를 응시하면 1과목 당 2.5% 가산점을 받는다. 탐구 영역 두 과목에서 모두 가산점을 받은 학생 D(923.34)의 대학별 환산 점수가 학생 E(919.33)에 비해 높다.
현재 학생 E 성적에서 사회문화 표준점수를 1점 더 받아 61점 받는다면 숭실대 대학별 환산 점수는 921.87이 되는데, 역시 학생 D보다 약 1.5점 낮다. 2점을 더 받아 62점이 된다면 대학환산점수 924.31로 과학탐구 두 과목을 응시한 학생 E보다 높은 점수가 된다. 이때의 사회문화 백분위는 89고, 등급은 2등급이 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정시 전형에서 가산점의 영향까지 고려해 탐구 영역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