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친화대학, 대학자원 활용한 노인 평생학습·여가지원 모델 구축해야”
‘고령친화대학과 K-UBRC 도입을 위한 입법·정책토론회’ 토론 참여 대학, 고령자 위한 교육·돌봄 서비스 제공 방향으로 발전 필요 “고령친화대학, 지역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예산·정책적 지원 뒷받침돼야”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우리나라에서 고령친화대학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고령자를 위한 교육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한 고령친화대학이 단순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대학의 시설과 자원을 활용해 노인들의 평생학습과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모델이 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임진섭 국립안동대 아동사회복지학부 교수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된 ‘고령친화대학과 K-UBRC 도입을 위한 입법·정책토론회’ 토론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임 교수는 “지금껏 대학은 전통적으로 젊은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됐지만, 학생 인구 감소와 고령 인구 증가를 고려할 때 대학이 고령자를 위한 교육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고령친화대학이 되려면 대학이 갖고 있는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 사회의 고령자들에게 교육, 복지, 여가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임 교수는 고령친화대학이 단순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의 시설과 자원을 활용해 노인들의 평생 학습과 여가 활동을 지원하는 모델이 돼야 하며,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과목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특히 프로그램은 세대 간 소통과 통합을 위해 젊은 학생들과 고령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해 세대 간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고령친화대학은 대학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것이 아닌 지역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다. 대학이 고령 친화적인 캠퍼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과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성하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과장은 “고령친화대학과 K-UBRC은 ‘대학과 지역이 협업을 하면서 대학이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교육부도 적극적으로 고등 교육 분야의 규제 개선과 함께 라이즈, 글로벌 대학을 통해 선도 모델을 만들고 지자체와 협업을 하면서 다양한 모델들이 적극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토지 이용이나 건축 환경 세제 등에서 대학들이 자산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인센티브 및 특례가 필요하다 이야기가 있다”며 “교육부는 대학이 갖고 있는 유휴 자산을 활용하기 위한 규제를 적극 개선했다.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국회에서도 관심 가져주시고, 국토부 등 관련 부처에서도 함꼐 논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