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2025-03-21     한국대학신문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고려대, 연세대, 경북대를 시작으로 각 대학이 설정한 복귀 마지노선이 3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도래하며, 기한 내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 또는 제적 조치가 불가피하다. 정부와 대학은 학칙에 따른 엄정한 조치를 강조하며, 추가 기회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교육부는 3월 말까지 전원이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3,058명으로 유지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여전히 상당수 학생이 복귀를 주저하고 있다. 일부 대학은 결원 발생 시 편입학을 통한 충원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 의과대학 총장협의회도 “학칙을 준수해 유급·제적을 적용할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학사 운영의 문제를 넘어, 정부와 대학이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마지막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해석된다. 일부 대학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예과 과정으로, 보건의료 전공 졸업생을 본과 과정으로 편입시키는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문제는 의대생들의 선택이다. 일부는 지도부와 동료들의 눈치를 보며 결정을 미루고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정부와 대학의 강경책에 반발하며 집단행동을 지속하려 한다. 하지만 기한을 넘길 경우 개인적인 불이익이 커질 뿐만 아니라, 향후 의사로서의 진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사태는 단순히 의대 정원 문제를 넘어 의료계 전반의 구조적 갈등을 드러낸 사건이다. 그러나 지금은 서로를 비난하며 대립할 때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다. 의료계는 국민을 위한 마지막 보루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제는 대승적인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대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