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전공자율선택제 안착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학생 중심 교육시스템 변화 우수 사례 공유 전공자율선택제 성공적인 안착 위한 방안 논의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8일 서울 센터포인트 광화문에서 ‘전공자율선택제 현장 안착을 위한 학교 관계자 및 학생과의 대화’를 주제로 관계자 및 학생들과 함께 차담회 가졌다.
이날 차담회에서는 전공자율선택제를 통해 기존 학과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교육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전공자율선택제가 성공적으로 안착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전공자율선택제 주요 우수 사례로는 전공쏠림을 대비한 성균관대, 한양대(에리카), 부산대, 서울대의 진로지도 사례와 군산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부경대, 창원대 등의 학사유연화 사례가 소개됐다. 또한 기초학문 지원 부분에서는 경희대, 이화여대, 국립창원대 사례가 공유됐다.
소속감 제고를 위한 우수 사례로는 한양대, 연세대, 가톨릭대, 숙명여대 사례가, 에듀테크를 활용한 우수 사례로는 한양대, 상명대, 숭실대 사례가 공유됐다.
아울러 관련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한 학생들의 소감을 듣는 시간도 가졌다. 학생 중심 교육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인공지능(AI) 전환 등 산업구조 개편으로 융합형 인재 양성이 절실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에 대학들은 신입생 부트 캠프, 기숙형 프로그램(Residential College) 등 학생들이 소속감을 갖고 대학생활 전반에 잘 적응하도록 하고 학과별 공간 재조정과 전담 인력 배치,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 등을 통해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학생들이 질 좋은 교육을 받도록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부총리는 “교육부도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학생들이 각자의 적성과 진로에 맞게 전공을 선택하고, 미래 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의 우수 사례들을 발굴․확산하는 등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