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라마 인기 ‘고공행진’… 콘텐츠산업 국가지원 확대 방향은?
지난 31일 국회서 ‘콘텐츠산업 점검·국가지원 확대’ 정책 토론회 개최 ‘K-콘텐츠 미래 전략’ 모색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문체부 공동 주최 “법과 제도, 금융과 기술이 맞물려야 K-콘텐츠 산업 체질 개선 가능”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K-콘텐츠가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대학들도 K-콘텐츠 관련 학과를 앞다퉈 신설하면서 콘텐츠 산업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학계에서는 신기술 혁신에 맞춰 콘텐츠 장르 간 융·복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신규 시장을 창출해 산업 발전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 31일 국회에서 ‘콘텐츠산업 점검과 국가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개최됐다. 토론회는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이날 김동호 숭실대 글로벌미디어학부 교수는 ‘문화기술 R&D 투자 확대의 필요성’에서 콘텐츠·예술 산업에서 장르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플랫폼화되는 점을 짚었다. 이어 장르 간 융복합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콘텐츠 산업 R&D는 이에 맞춰 신규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호 교수는 “문체부는 사회 변화 동향과 산업 발전 방향에 맞춰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계획에서 문체부는 R&D를 바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신규 시장을 창출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며 “AI 기술 발전은 전통적 가치사슬의 변화, 소비의 개인화, 콘텐츠 제작 품질 양극화 등의 변화를 가져왔다. ‘창작의 시대’ ‘초개인화’ ‘AI 활용에 의한 제작혁신’ 등 다양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콘텐츠 산업 확대를 위해 콘텐츠 소비 동향에 맞게 창·제작과 유통·소비 단계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문화기술 7대 핵심기술 개발로 콘텐츠산업에 AI를 전면 도입하고 CT 전담 기관을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전했다. 김 교수가 제안한 7대 핵심기술은 △미래 모빌리티 콘텐츠 기술 △초실감 공간컴퓨팅 기술 △초몰입 게임 기술 △영상 AX △실가상융합 공연 기술 △2차 창작물 변환·상생 기술 △한국문학 AI 번역 기술 등이다.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창작 환경 조성과 전략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재원 의원은 환영사에서 “2025년 문체부 예산은 7조 672억 원으로 전체 예산 대비 1.05%에 불과하다. 이는 최근 10년 내 최저 수준”이라며 “지난 2월에 개최된 제6차 수출전략회의에서도 문화산업은 주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됐다. 여전히 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원 의원실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콘텐츠산업 매출은 151조 원, 수출액은 132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이차전지 산업 수출액인 99억 9000 달러를 넘어서는 수치다. 김 의원은 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장벽과 무역 질서 재편은 우리의 전통적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며 “콘텐츠산업은 미래 성장동력이며, 정책금융과 기술 R&D, 법제도가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진정한 체질 개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이날 홍무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의 ‘글로벌 콘텐츠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 박용범 단국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의 ‘블록체인과 문화콘텐츠’ 발표가 이어졌다.
‘국가적 지원 확대와 법·제도 개선을 위한 종합토론’에서는 박성현 CJ ENM 전략지원팀 부장, 진재영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투자과장, 김종원 상명대 SW융합학부 교수, 이대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참석해 콘텐츠산업의 정책금융 제도 개선, 신사업 규제 정비,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신기술 도입 등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국회의원, 정부 부처, 학계, 업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