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알짜 학과’를 찾아라/바이오제약학과] 최신 기술 옷 입은 ‘생명·바이오’… 미래 먹거리 산업의 중심에 서다
채용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진학지원센터장
바이오산업 발전·확대에 따른 바이오헬스 분야의 필요 인력 요구에 따라 산업현장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바이오/제약 산업의 기초이론부터 제조·공정, 품질관리까지 산업 실무의 전반을 다루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우수한 연구실적과 현장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이 현장미러형 최신 실습환경에서 바이오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에 힘쓰고 있다. 최고 수준의 교육환경을 갖춘 바이오제약학과는 바이오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무중심의 교육을 통해 의약품 생산·품질관리 전문가, 분석전문가, 단백질의약품 개발·생산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바이오제약학과는 어떤 자질과 능력을 갖춘 학생이 잘 맞을까.
“생명에 대한 호기심이 있는 학생, 꾸준한 노력으로 인류 복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 등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시작해 볼 수 있다. 생명/바이오 전 분야에 활용되는 기초적인 기술은 모든 관련 분야에 폭넓게 융합해 실용적인 기술과 지식으로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진취적인 생각과 타인과의 협력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의약품 분야의 특성상 정해진 규정과 절차를 이해함은 물론 이를 올바르게 준수할 수 있는 정직한 자세가 필요하다. 아울러 생명바이오의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생물, 화학 등 이공계 분야의 기초과목에 관심이 있다면 유리하다.”
- 학과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이뤄져 있나.
“바이오제약학과는 다양한 생명바이오 분야에서 전문지식과 현장경험을 보유한 교수진을 통해 최신 기술을 반영한 커리큘럼을 구축하고 최첨단 연구장비를 통해 이를 교육하고 있다. 이론과 실습의 균형적인 운영을 통해 바이오산업에서 실용화할 수 있는 실무 중심적 전공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전공 이론과 실습 교육, 산학연계 실무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교내에 설치된 특화 분야별 실습실을 활용해 기기분석, 미생물 배양, 바이오 공정 등 산업계 진출 시 직접적인 현장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산학 협약·유기적인 거버넌스를 맺고 있는 다양한 바이오 분야의 산업체·대학을 통해 학생들에게 현장 견학, 현장실습, 산업체 연계 실습 교육, 산학공동기술개발, 대학원 연구실 인턴과정 등의 한 걸음 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학과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은.
“화학분석기능사, 바이오화학제품제조산업기사, GMP기술인, 밸리데이션기술인, 연구실안전관리사 등 바이오제약 전공 관련 자격증부터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화공기사, 화학분석기사, 산업안전기사, 생명화공 전공에 밀접한 자격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 졸업 후 진로는.
“바이오의약품, 합성의약품의 생산·품질관리 분야(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T젠바이오, 녹십자, 대웅제약 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기능성 소재 개발 관련 분야(한국콜마, 코스맥스 등) 등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으로의 취업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2024년부터 유한대의 경우 전공심화 과정 진입을 통해 학사학위 취득이 가능해, 진학을 희망하는 전문학사 졸업생이 본 학과에 전공심화과정에 진입하고 있다.”
- 제약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은.
“제약학과를 운하고 있는 대학은 동남보건대 식품제약과, 유한대 유한바이오제약전공, 충북보건과학대 바이오제약과, 가톨릭상지대 바이오제약과, 안동과학대 바이오백신제약과 등이 있다. 그 외에 대전보건대 바이오의약과, 충북도립대 바이오생명의약전공 등이 있다.”
<한국대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