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서울대 등 29개교,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최종 확정

연구개발비·운영 체계 등 심사 거쳐 사업 신청 대학 전원 선정 수도권 16개·비수도권 13개 고른 분포… 하반기 공모도 검토

2025-04-28     윤채빈 기자
2025년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사업 참여 대학. (자료=과기정통부)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의 2025년도 참여대학 29개교를 최종 확정하고, 오는 5월부터 본격 지원에 나선다. 올해 사업 공모에는 총 29개 대학이 신청했고, 요건검토 및 선정평가를 거쳐 신청대학 모두 참여대학으로 확정됐다.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안정적 연구 생활을 지원하는 ‘한국형 스타이펜드(Stipend)’ 도입을 위한 재정지원사업이다. 사업 참여 대학 소속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 활동 중 석사 과정은 월 80만원, 박사 과정은 월 110만원 이상의 지원금을 정부·대학·연구책임자로부터 보장받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준금액 부족분 지원금, 대학계정 재원조성 지원금, 대학별 운영비 등을 지원한다.

올해 2월 11일부터 3월 13일까지 진행된 공모에는 고려대, 부산대, 서울대 등을 포함한 29개 대학이 신청했다. 과기정통부는 요건 검토와 선정 평가(3월 18일~4월 18일)를 거쳐 신청 대학 전부를 최종 참여 대학으로 확정했다. 요건 검토 단계에서는 대학별 연구개발비 규모를, 선정 평가 단계에서는 운영 체계, 학생 지원 현황 및 재정 기여 노력, 재정 운용 계획, 사업 관리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다. 최종 선정된 29개 대학 중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재 대학은 16개교, 비수도권 대학은 13개교로, 지역별로 고른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참여 대학을 대상으로 대면 자문(컨설팅)을 진행해 세부 운영 계획을 보완하고, 기준 금액 미만 학생 지원 절차를 마련해 제도가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생활장려금 지급은 대학별 세부 운영 계획이 확정된 이후 개시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제 기술경쟁을 선도할 핵심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연구책임자뿐만 아니라 정부와 대학의 적극적 노력이 함께 수반돼야 한다”며 “3자 협력체계를 토대로 한국형 연구생활 장려금(스타이펜드)을 안정적으로 도입·확산해 과학기술 인재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마음껏 연구하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기본계획 및 2025년도 시행계획(안). 갈무리 (자료=과기정통부)

한편,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연구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여러 조사에서 확인돼 왔다. 동 사업 시행계획안에 실린 이공계 대학원생 최저수준 지원 실태조사(2024년 6~11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최저수준 지원도 받지 못한 이공계 대학원생 비율은 약 20%에 달했다. 2021년에는 이공계 전일제 R&D 참여학생의 22.4%에 해당하는 11만231명이 최저수준 미만 지원을 받았고, 2022년에는 R&D 참여학생 수가 5만2640명으로 늘어났음에도 미지원 비율은 2%포인트 줄어든 1만954명으로 조사됐다. 2023년에도 참여학생 수는 5만5023명으로 증가했으나, 최저수준 미지원 학생은 1만489명(19.1%)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을 두고 이공계 대학원생들은 연구생활장려금 도입에 대체로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열린 학생연구자 간담회에서는 “생활이 힘든 학생들은 아르바이트와 학업을 병행하기도 하는데, 스타이펜드가 도입되면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될 것”, “지금까지 학생 인건비 지급이 교수에게 전적으로 의존해 연구비 불안정성에 취약했던 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다만 연구처장·연구부총장 간담회에서는 “과제 중단이나 연구비 축소 등으로 인한 학생 인건비 소요 예측이 어려운 만큼 초기 펀딩이 충분히 뒷받침돼야 한다”는 우려와 함께, “병사 월급(200만원)과 비교할 때 학생 연구자의 지원금이 지나치게 낮아, 점진적 인상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과기정통부는 29개 대학 지원 후 잔여 예산을 고려해 하반기 추가 공모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