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 분석

직능연, 20일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 보고서 발표 탄소중립 관련 협치 기능 강화해야… 중장년 위한 탄소중립 특화 훈련 고도화 중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 설정·로드맵 수립, 지자체 특화 산업 연계 지원 등 필요

2025-05-26     임연서 기자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이상기후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이에 따른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중장년 근로자 직업군의 변화 역시 피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을 위해 체계적·맞춤형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하 직능연)은 20일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 이슈브리프를 발표했다. 해당 이슈브리프는 직능연 보고서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직업훈련 혁신 방안’에 기술된 인터뷰 내용과 계층화 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결과를 분석했다.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탄소중립 지원센터, 훈련기관 담당자 등 총 1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지속가능경영·직업훈련 연구 분야 전문가 12명이 계층화 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조사에 참여했다.

핵심 요인과 세부 방안·세부 내용.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직업훈련 혁신 방안을 도출했다. 총 3개의 대영역(핵심 요인)과 각 대영역별로 4개씩 총 12개의 소영역(세부 방안)이 포함된 혁신 방안이 제시됐다.

도출된 3개의 대영역은 △탄소중립 관련 협치 기능 강화 △중장년을 위한 탄소중립 특화 훈련의 고도화 △중장년 훈련생의 탄소중립 분야 훈련 참여 지원이다.

대영역별로 4개씩 도출된 총 12개의 소영역에는 △정부의 탄소중립 관련 정책 방향 설정과 로드맵 수립 △유관 기관·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등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정부의 명확한 로드맵과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범부처적 관심과 부처 간 역할 분담이 중요하고, 산업별 이·전직 수요를 조사하고 훈련기관·RSC(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 간 소통 체계를 구축해 중장년층의 이·전직을 지원해야 하는 등 소영역별 세부 내용이 담겼다.

AHP 분석 결과 혁신 방안 순위별 내용과 가중치.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후, AHP(계층화)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 혁신 방안 총 12개 항목 소영역의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정부의 탄소중립 관련 정책 방향 설정과 로드맵 수립’이 1순위를 차지했으며, △각 지자체의 특화 산업군과 연계한 탄소중립 분야 지원 방안 마련 △중소기업 대상 지속가능경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 △유관 기관·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자격 취득과 연계된 탄소중립 특화 훈련의 개발과 운영 등이 뒤를 이었다.

정은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은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직업훈련의 혁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탄소중립 관련 협치 기능 강화가 중요하다”며 “정부의 정책 방향 설정, 각 지자체와 연계한 탄소중립 지원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 활성화 지원과 산업체 등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도 필요하며, 중장년층을 위한 탄소중립 특화 훈련 고도화를 위해 자격 취득과 연계된 훈련 과정의 개발·운영이 요구된다”고 전했다.

상위 5개의 우선순위에 대한 기대효과로는 △각 지자체별 탄소중립 기본계획의 내실화 △지역 내 특화 산업군의 내실 있는 발전 기대 △각 지역 내 중소기업의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노력 △중장년 대상 탄소중립 분야 특화 훈련 과정 개발 용이 △중장년층의 원활한 이·전직 기대 등을 꼽았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상위 5개의 정책 제언 외에도, 연구 과정에서 도출된 추가적인 7가지 정책 제언들도 신중히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정은진 연구위원은 “6순위로 제시된 탄소중립 분야의 직무 융합을 고려한 훈련과정 개발과 7순위와 8순위로 제시된 ‘장기 훈련과정 개발’과 ‘우수 훈련기관·교강사 양성을 위한 지원책 마련’도 면밀히 준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