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의대생 복귀 후속 조처 주문
교육부 “의대생 복귀 결정 환영” 행·재정적 뒷받침 약속 전국 40개 의대, 수업 정상화 방안 마련 돌입… 형평성·특혜 논란 불가피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15일 이재명 대통령이 의대생 복귀 선언을 환영하며 대책 마련을 지시하자, 당일 교육부가 교육 방안을 마련해 의대 교육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 40개 의대도 회의를 열고 대책을 마련에 돌입했다.
교육부는 15일 출입기자단 공지를 통해 “의대생들의 복귀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대학과 함께 복귀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 의대 교육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교육부는 “대학은 교육여건과 학사 상황을 고려해 복귀한 학생들이 충실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는 행·재정적 뒷받침을 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교육부와 대학은 의대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이미 교육을 받고있는 학생들도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복귀를 앞둔 학생들에게는 “예비 의료인으로서 성숙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학업에 임하기를 바란다”며 “교육부는 훌륭한 의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대학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당부했다.
전국 40개 의대도 내부적으로 수업 정상화 방안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가장 유력한 방안은 방학이나 야간, 주말 등을 활용해 추가 수업 개설하는 것으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의대 교수, 학장, 의대생들은 방학과 계절학기, 주말·야간 수업까지 총동원해 물리적 주수와 임상 실습 시간을 온전히 확보하겠다”고 언급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본과 4학년에 대해서는 국가고시 추가 시행을 건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대 학장들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도 당일 의대 학사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온라인 회의를 열고 학생들의 복귀에 따른 학사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복귀한 학생과의 형평성이나 특혜 논란, 교육의 질을 담보할 학사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17일 긴급 회의를 열어 복귀생들을 위한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