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즈(RISE) 레이더] 경남도립남해대학-사천시산림조합 MOU… “원예조경 인재 양성”

지역산업 맞춤형 원예조경 인재 양성 기대 현장견학·실습·채용 연계 등 협력 강화 “실무적 협력 통해 지역 발전에 앞장”

2025-08-20     김영식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올해부터 향후 5년간 ‘혈세’ 2조 원 이상이 투입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RISE, 이하 라이즈)’가 전국 17곳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본격 시행된다.

기존 중앙 중심 고등교육지원 관련 행‧재정적 권한을 지자체 등 지역사회로 내려보내며 인구절벽 위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심화에 전면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정주율 향상’ 등 목표 달성을 통해 대학과 지역의 생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라이즈 주체로 크게 부각된다는 사실이다. 기존 중앙으로부터의 대학재정지원 관련 행정이 여러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이 같은 사실을 인식하고 지역으로 권한이 넘어갔다. 결국 해당 지역의 어려움을 더욱 세밀하게 집중적으로 파악해 해소할 가능성 또한 높아진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광역은 물론, 기초지자체의 라이즈 동참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기초지자체와 지역대학의 협력은 그 과정을 통해 현장 가장 일선으로부터의 의견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대학신문은 이에 초점을 맞춰 라이즈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최일선 지역사회의 협업 관련 보도를 이어갈 방침이다. <편집자주>

경남도립남해대학과 사천시산림조합이 최근 라이즈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한 가운데, 협약식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남해대학)

경상남도(지사 박완수)는 지역 19개 대학과 함께 이른바 ‘경남형 라이즈’를 본격 추진 중인 가운데, 지역 대학과 기업간 협업 사례가 나와 주목된다. 경남도립남해대학과 사천시산림조합이 손을 맞잡으며, 라이즈와 연계한 원예조경 분야 지역인재 양성에 나선다.

20일 남해대학에 따르면 남해대학은 최근 사천시산림조합과 라이즈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남해대학 권대곤 원예조경 학과장과 김근배 사천시산림조합 조합장을 비롯해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우수 인재 배출 및 채용 △기업 맞춤형 인재 모집·선발 △교육 후 취업 연계 교육과정 운영 등에 협력하는 데 합의했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남해대학 원예조경과 재학생들은 산림조합 실무 체험과 현장견학, 실습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 대학의 교육 인프라, 전문 강사진, 취업 정보 등을 상호 공유하고, 유망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진로 탐색,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남해대학 권대곤 학과장은 “라이즈를 기반으로 사천시산림조합과 실무적으로 협력해 지역사회 발전에 앞장서고, 지역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우수 인재 양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또한 사천시산림조합은 라이즈 참여기업으로 교육·현장 경험·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기 위한 지원에 나선다. 김근배 조합장은 “라이즈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홍보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 기관이 속한 경남도는 앞선 라이즈 공모를 통해 4대 프로젝트별 19개 대학의 참여를 확정했다. 올해 라이즈 예산으로 1,027억 원을 투입한다.

경남형 라이즈의 얼개를 이루는 경남 라이즈 기본계획에 따르면 경남도는 ‘지역과 대학을 위한 라이즈, 도약하는 경남’을 비전으로, 대학 자율혁신 지원 등 5대 프로젝트와 G-10 지역전략산업 특성화 대학 육성 등 12개 단위과제를 중심으로 라이즈를 추진한다. 경남도는 앞선 교육부 평가에서 계획 분야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며 국비 인센티브 135억 원을 확보하기도 했다.

특히 경남도는 라이즈 체계 내 ‘지(G)-10 지역전략산업 특성화 대학 육성’ 사업을 추진해 지역 특화산업과 대학의 강점을 연계하고, 산·학·연 협력을 기반으로 한 특성화 강소대학을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5년간 추진될 경남형 라이즈를 통해 연평균 4,000명의 인재를 양성하는 등 산업인력 미스매치 해소에 나선다. 이를 통해 양성된 인재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고, 산업과 연계한 대학 혁신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