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이 미래다] 정부 ‘AI 3대 강국’ 전략, 교육현장서 첫 실험… 케리스·연세대가 문 열었다

케리스 ‘교육데이터’ 연세대 ‘연구력’… AI 기반 학습 실험 기대감 전문가 “데이터 보안·윤리 시스템 뒷받침돼야 지속가능 혁신 가능”

2025-11-05     김의진 기자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사진 왼쪽)과 윤동섭 연세대 총장(AI혁신연구원장)이 지난달 31일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공동 연구 협약을 계기로 대학 연구 현장에서도 AI 기반 교육 혁신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정부의 인공지능(AI) 전략이 대학 현장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이 손잡고 AI 기반 교육 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면서다. 정부가 추진하는 AI G3 전략의 청사진이 대학 연구 현장에서도 실현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진다.

5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은 지난달 31일 AI 기반 교육 혁신과 공동 연구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교육 데이터와 AI 기술·인프라를 활용해 △AI와 디지털 교육 융합을 위한 공동 연구 △AI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AI 정보 교류와 인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한다.

교육계에선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AI G3 전략이 대학 현장에서 구체화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분석한다. 케리스(KERIS)의 공공 데이터와 연세대의 연구력이 손을 잡고 AI 혁신과 관련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케리스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디지털 교육을 이끌어온 대표 기관이다. 전국 학교의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온라인 행정 시스템과 학습 플랫폼을 설계해온 곳이 케리스다. 학생들의 학습 기록과 수업 콘텐츠, 교사의 연수 데이터 등 교육 전반에 걸친 방대한 정보를 모으고 관리한 덕분에 교육 분야에서 가장 큰 데이터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은 지난달 24일 개원한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문 연구기관이다. 인문학·사회과학·의학 등 다양한 학문이 융합해 AI가 인간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함께 발전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융합형 연구소다. 기술 개발과 연구, AI 인재양성의 중심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다.

정제영 케리스 원장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지난 25년간 학교 현장에서 쌓인 교육데이터와 정책 경험을 많이 갖고 있다”며 “연세대가 가진 AI 기술력과 연구 인프라가 더해진다면 현장에 적용할 AI 교육 혁신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원장은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AI G3 정책의 교육 분야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며 “교사와 학생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아이클릭아트

■ AI G3, ‘공공서비스+인재양성’ 국가 전략 = AI G3는 이재명 정부가 올해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를 통해 확정한 AI 국가 전략이다. 전 분야에 걸쳐 AI 중심으로 바꿔 우리나라를 세계 3대 AI 강국 반열에 올리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특히 공공서비스 영역의 행정을 AI로 전환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는 것과 교육 분야에서 AI 핵심인재를 양성하겠단 것이 핵심 과제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케리스·연세대 협력을 현 정부의 AI G3 전략을 현장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실험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도 AI G3 전략이 본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델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높인다는 반응이다.

최석식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통화에서 “AI G3는 국민이 이용하는 행정과 교육, 복지 등 공공서비스 전반에 해당하는 전략”이라며 “특히 대학 현장은 AI를 활용해볼 수 있고, AI 시대를 이끌 인재를 길러내는 가장 현실적인 공간이다. 공공기관과 대학의 협력은 앞으로 더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AI혁신연구원장)도 “AI가 사람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 기술과 윤리, 사회적 가치를 함께 연구할 것”이라며 “공공기관이 가진 교육데이터와 대학의 연구를 융합한 한국형 AI 교육 거버넌스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AI 교육 혁신이 지속되려면 데이터 공유 시스템과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AI가 교육에 안정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선 데이터 품질과 철저한 보안·윤리 기준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미다.

강인구 법무법인 테헤란 변호사는 본지에 “AI가 교육현장에서 안정적으로 활용되려면 이를 지속 발전시킬 수 있는 데이터 관리, 보안·윤리 기준을 먼저 세워야 한다”며 “공공기관과 대학이 공동 거버넌스를 만들어 운영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제영 원장은 “정부의 정책 방향과 보조를 맞추면서 연세대 AI혁신연구원과 AI 교육의 표준모델을 만들겠다”며 “교사와 학생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도움이 되는 AI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