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진로진학 가이드] 2026 전문대학 정시모집 지원전략①
김장업 영훈고 교사
여러 회차에 걸쳐 전문대 예체능 분야의 다양한 전공소개와 입학방법을 다루었다. 이번 회차에서는 전문대학 정시모집을 살펴보겠다.
-모집 일정
전문대학(교)는 학생, 학부모, 교사 등의 교육수요자들이 입시 준비와 지원을 쉽게 할 수 있도록 2026 대입 정시모집 일정을 공동 운영한다.
1차와 2차로 분할 모집하는 수시모집과 달리 정시모집은 1회만 진행하며, ‘군’별로 모집하지 않고 지원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원서접수 기간은 2025년 12월 29일(월)~2026년 1월 14일(수)이며, 최초합격자는 2026년 2월 2일(월)까지 발표하고, 2026년 2월 3일(화)~5일(목)까지 등록기간을 갖는다. 또 미등록 충원은 2026년 2월 27일(금)까지 진행한다. 정시 원서접수 기간과 정시모집 등록기간 이후 발생한 모집 결원은 2026년 1월 15일(목)~2월 27일(금)까지 자율모집을 통해서 모집한다. 원서접수 기간은 동일하지만 대학별로 접수마감일 원서접수 마감시간이 다르므로 미리 원서접수 마감시간을 확인해야 한다.
-지원시 기본 유의사항
전문대학 간 또는 전문대학(교)과 대학(교육대학, 산업대학 포함) 간의 복수지원은 가능하고, 해당 대학에서 금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 동일 대학 내의 복수지원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각 대학 내 복수지원 허용 여부 및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모집요강을 통해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전문대학(교)을 포함해 수시모집에 합격(충원합격 포함)을 한 학생의 경우는 등록 여부와 관련 없이 정시모집 지원을 할 수 없으므로 지원 전에 충원 합격을 포함한 수시 합격 여부를 확실히 파악해 이에 대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별법을 근거로 설치된 대학인 경찰대, 육·해·공군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기능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예술종합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 농수산대학은 복수지원 및 이중등록 금지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한국폴리텍대학(기능대학)의 경우 전문대학(교)과 상호 복수지원은 가능하지만 폴리텍 캠퍼스 간 복수지원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정시 모집 전형 요소 별 반영 방법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로 선발하는 대학이 대부분이었고 일부대학 학과에서 면접과 실기를 실시하기도 했지만, 정시모집에서는 수능100, 학생부+수능, 수능+면접, 면접100, 수능+실기, 학생부100, 학생부+실기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전형이 있어, 반드시 대학 및 학과별로 전형방법을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특히 최근의 트렌드는 학생부100과 수능100으로 각각 인원을 나눠서 선발하고 있는 대학, 학생부나 수능 중 더 유리한 성적을 반영하도록 하는 대학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학생부 반영 방법을 살펴보면, 대부분 대학은 수시에서 반영한 1학년~3학년 1학기 중의 학생부교과성적을 정시에 반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대학은 정시에서 1학년~3학년 2학기까지 중에서 반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명지전문대의 경우, 수시는 1학년 중 우수 학기, 2학년 중 우수 학기, 3학년 1학기 등 총 3개 학기를 반영했지만, 정시는 학생부100전형에서 2학년 2개 학기, 학생부+수능전형에서는 3학년 2개 학기만 반영한다. 이렇게 정시에 반영방법이 달라지는 대학도 있으니 유의해야한다.
수능 반영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대학(교)는 수능 성적에서 각 영역 중 우수한 2개 또는 3개 영역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고, 한국사나 제2외국어 / 한문 등도 선택 반영 영역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탐구영역은 대부분 사탐/과탐/직탐 구분 없이 우수한 1과목 성적만 반영하지만, 2과목 평균 점수를 반영하는 전문대도 일부 있어 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등 절대평가 과목이 선택 반영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는 대학별로 정한 환산기준에 따라 등급환산점으로 반영한다. 대부분 점수활용지표로 백분위를 사용하지만 표준점수를 사용하는 학교도 있고, 일부이지만 석차등급을 활용하는 학교도 있으므로 수능영역별 반영방법을 유의 깊게 살펴보고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