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지구촌 각 대학, 등록금 인상으로 인한 반발로 몸살
영국, 중국, 헝가리, 남아공, 멕시코, 가나, 캐나다, 이스라엘을 비롯해 +태국, 호주, 독일 등도 등록금 인상에 따른 학생과 학부모들의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고 미국 고등교육 전문지 『크로니클』이 지난 23일 보도했다.
영국은 지난 한 해 동안 정기적인 등록금 인상 저지운동이 일었다. 정부는 등록금 인상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들의 대입기회 축소를 막기 위한 정부 +지원정책을 내 놓는 등 대책마련을 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일부에서는 "등록금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학생들만을 받아 소수 엘리트로 키우자"는 의견도 대두돼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멕시코의 국립 자치대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9개월 반 동안의 등록금 인상 +저지운동으로 결국 올해 4월 대학이 문을 닫는 사태까지 치달았으며 이스라엘은 학생들에 의한 6주간의 대 정부 항의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아프리카의 국립 가나대는 오는 10월 급작스럽게 등록금을 올리려는 +방침이 들통나 학생들에 의해 학교가 폐쇄됐으며 캐나다는 학생들이 전국을 순회하며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시위를 펼치고 있다.
미국의 교육 전문가들은 세계 각국 대학의 등록금 인상을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있다.
브루스 존스턴(Bruce Johnston) 뉴욕주립대 교수는 "베이비붐 시대 동안 엄청나게 늘어난 인구가 지난 20년간 대학교육의 수요자로 급부상 했다"며"이들의 수요를 충족하고자 대학 시설은 비례적으로 증가했지만 정부와 +민간은 이들 대학들의 늘어난 지원 요구를 따라갈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필립 알바크(Philip G. Altbach) 보스턴대 교수도 "늘어난 학생들과 고등교육 기관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지원 부담이 커지는 것을 각국 정부는달갑지 않게 생각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특히 국공립대의 등록금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한 이 같은 현상은 점차 대학이 시장 경제적인 논리로 운영되는 것도 한 이유일 것이라는 의견이다.
현재 독일 등 유럽의 국립대들은 무등록금 제도의 폐지를 재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호주와 중국은 대학 입학생수가 지난 10년간 각각 2배 가량 증가했다. +호주는 이로 인해 그 동안 유지해 온 무등록금제를 없애고 대학이 자율적으로 등록금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학의 수익사업을 통해모자라는 재원을 채워나가야 하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