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하 인덕대학교 교수(사회복지학)

‘전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적으로 실천하라(Thinking is global, practice is local)’

1992년 브라질 리우환경회의 브랜드 슬로건이었던 예의 환경 캠페인이 새로운 세기에 들어와 비약적으로 사회적 확장성을 가지며 사회 모든 부문에 녹아들게 됐다. 하지만 지역경제는 장기실업과 저성장, 산업구조의 개편 등으로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형국이다. 그런가하면 대학은 대학대로 학령인구 대비 과밀 분포이다 보니 고등교육기관 간 경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중장기적으로 시계 제로인 상황이 예측되고 있다. 게다가 입학금 폐지에 등록금 동결이 지속돼 재정여건이 한계상황에 달한 상태다. 정부는 대학의 공공성과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질적 수월성을 주장하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이는 구조개혁 가속화에 다름 아니다.

요컨대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본질과 의의, 역할과 과제, 미래 비전의 알파와 오메가는 ‘지역의, 지역에 의한, 지역을 위한’에서 그 해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 백세장수시대에 전문대학의 현 주소는 평생교육과 직업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연-관-산-학, 즉 연구소, 지자체, 산업체와 대학이 연계해 협력할 때만이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영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조 하에 전국의 많은 전문대학은 지자체와 보폭을 함께하며 전례 없는 친화력(Rapports)을 보여주고 있다.

본지와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산하 대학지자체상생발전위원회는 10회에 걸쳐 ‘전문대학과 지자체의 상생­협력방안 모색’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①지역발전 모색을 위한 전문대와 지자체의 역할과 과제
②혁신을 지향한 전문대와 해당 지자체 협력 사례
③인덕대학교 협력사례
④서정대학교와 양주시의 협력사례
⑤지자체 커뮤니티 케어와 지역대학의 간호보건 협력 사례
⑥거창 승강기밸리 사업과 추진 대학 간 상생협력의 비전
⑦지역특화형 전문대학과 지자체 간 상생협력 모델 사례
⑧지자체 시정발전연구원 설립과 운영 사례
⑨지자체와 공립 전문대학의 상생협력 성과와 전망
⑩해외 전문대학과 지자체 협력사례
⑪전문가 좌담회

이종하 인덕대학교 교수
이종하 인덕대학교 교수

■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이란?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서울시가 대학과 지역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쇠퇴한 대학가를 지속가능한 창조자로 조성하기 위해 대학제안사업 공모를 통해 진행된 사업이다.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대학과 자치구가 계획수립부터 시행까지 주체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시가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인덕대학교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시와 노원구로부터 지원을 받아 공릉동 국수거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실시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상권 활성화에 지속해서 기여하고,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인덕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노원구 공릉1동의 국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청년창업 거리문화’를 조성하고, 지역·학생·대학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소통과 협력의 모델을 만들고자 시행됐다.  

■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인덕대학교는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국수거리 도시디자인, 상인회 활성화, 지역홍보 프로젝트 등을 실시했으며, 청년창업을 위한 창업페스티벌,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해 공릉동 국수거리를 특화거리, 청년창업거리로 만들어 왔다.

우선, 상권 활성화를 위해 2017년~2018년도에 걸쳐 국수가게의 간판을 새로 제작하고, 거리 디자인을 위한 공모전과 인덕대학교 도시디자인학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진행됐다. 그 결과 개성 넘친 명품 간판과 만족스러운 가로등 디자인으로 생기 넘치는 공릉동 국수거리의 변화를 끌어냈다.

또한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인덕대학교 방송연예과 학생들이 플래시몹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실시하고, 2017년과 2018년 서울창업페스티벌을 실시함으로써 창업문화를 확산하는 지역 허브(Hub)로서의 공릉동 국수거리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공릉동 국수거리 활성화를 위해 인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은 홍보물을 제작해 지역주민들과 함께 나누고, 지역주민 설문을 통해 새로운 거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3년간 꾸준히 인근 지하철 역사에서 시민들의 설문을 분석해본 결과, 공릉동 국수거리에 대한 인지도가 증가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지역사회와 협력을 위한 대학의 강점

전문대학에는 많은 자원이 있다. 분야별로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대학의 연구실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피가 끓는 청춘들은 자신의 지역사회에서 열정을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다.

인덕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장을 맡은 윤민영 교수(인덕대학교 방송연예과)는 “대학이 가진 다양한 인적, 지적, 물적 자원을 공공의 지원과 함께 연결할 수 있다면 대학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할 수 있고,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핵심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를 강조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대학의 자원은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쓰이는 것이 당연하다고만 생각해 왔다. 하지만, 대학의 인적, 지적, 물적 자원이 지역사회를 위해 사용되면, 지역사회가 발전하게 되고, 다양한 일자리가 생겨나고, 다시 대학의 안정적 자리매김에 기여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다.

전문대학의 특징 중 하나는 그 지역사회의 학생들이 많다는 점이다. 본인이 살아가는 지역에 대학이 인적, 물적, 지적 기여를 하고, 그 지역에서 성장한 청소년이 그 대학에서 더욱 성장해 다시 지역사회의 주체가 돼 살아가는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 바로 이것이 대학의 본질적인 모습이어야 하지 않겠는가?

■ 지역사회 발전을 향한 대학의 비전

인덕대학교는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와 대학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다. 그리고 그 기회를 통해 지역사회 속에 대학의 정체성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전문대학의 비전은 지역사회로 향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의 인재들이 대학을 향하고, 대학의 자원이 지역사회 안에서 공존할 때, 대학은 존재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지역대학은 지자체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브레인 역할을 감당하고, 지역주민이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하게 되면, 자녀들은 그 대학에서 성장해 또다시 지역사회를 발전시킬 것이다.

만약 대학의 인적, 물적, 지적 자원이 학생들의 교육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앞으로 지역사회를 위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어떻게 인식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해야 할 것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