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기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배상기 가톨릭대 교수
배상기 가톨릭대 교수

한 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 떡볶이 사장님의 눈물을 보았다. 사장의 눈물을 보면서, 우리 대졸자나 청년들이 지금 흘리는 눈물과 같은 눈물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 방송은 요식업으로 성공한 전문가가 죽어가는 골목상권을 살리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지역 식당을 방문해 음식의 종류나 맛 등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그런 가운데 그 식당이 살아나고 그 상권이 살아난다. 그 방송에 출연하는 전문가는 식당을 살리고, 상권을 살리면서, 새롭게 식당을 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했다.

최근에는 지방의 한 도시인 P시의 골목 시장을 무대로 솔루션을 제공했는데, 그 시장에 있는 떡볶이집도 포함됐다. 그 전문가는 자기가 지금까지 먹어본 떡볶이 맛 중에 가장 맛없다고 혹평했다. 그 떡볶이집 사장은 23년간 떡볶이를 팔아온 경력이 많은 분이었음에도 말이다.

그 전문가는 떡볶이가 맛이 없는 이유를 찾았다. 육수도 문제였지만 고추장이 큰 문제였다. 사장은 고추장이 맛있으라고 여러 가지 것을 넣어 새로운 고추장을 만들었지만, 그것이 고추장이 아닌 양념장이 돼 떡볶이 맛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을 전문가가 알아냈다.

​그 전문가는 떡볶이집 사장이 만든 기존의 양념장을 버리고 새로운 고추장을 넣어서 떡볶이를 만들었다. 그리고 육수도 다시 만들었다. 그렇게 만든 떡볶이는 그날 모두 팔렸다. 그렇게 몇 년 만에 떡볶이 한 판을 모두 판매한 사장은, 떡볶이 그릇에서 남아있는 떡 한 개를 먹어 본 후에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조용히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얼마 후에 그 사장은 중얼거리듯이 제작진에게 이렇게 말했다.

"내 고추장에 실망했어···나는 고추장에 정성을 많이 들였는데 실망했어. 그게 아니니까. 허망해···“

떡볶이집 사장이 맛있는 고추장이라고 생각해서 정성 들여 만든 것이 오히려 떡볶이 맛을 떨어지게 한 양념장이 된 것이다. 잘 팔릴 수 있는 떡볶이를 만들겠다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여러 재료로 만든 고추장이 오히려 필요 없는 양념장이 됐으니, 그동안의 노력과 시간이 허망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눈물이 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떡볶이는 먹는 손님이 필요로 하고, 먹고 싶은 떡볶이를 만들지 못하면 팔리지 않는다. 만드는 사람이 아무리 맛있다고 주장해도 말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서 필요한 능력을 갖춘 공부를 하지 못한 사람은 기업에서 채용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학위가 좋고 성적이 좋다고 해도 말이다.

《평균의 종말》이나 《공부의 배신》 등의 책에서 보면, 대학 졸업자가 회사에 제대로 취업하는 경우는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고용주의 만족도는 더 떨어지고 있단다. 그 이유는 학교에서 요구하는 소양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소양이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학교에서 아무리 잘 가르친다 해도 기업에서 꼭 필요한 것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학위나 성적의 위력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런데도 이 사회는 학교에서 요구하는 것에 연연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을 만든다. 대입에서 더욱 그렇다. 무엇인가에 도전하는 경험과 문제해결력을 키워야 함에도, 시험 문제만 잘 푸는 인재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주는 입시환경을 만들고 있다. 그 환경에 노출된 우리 청소년들은, 떡볶이에 필요한 고추장보다는 양념장이 되기 위해 무수한 돈과 시간을 쓰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P시 떡볶이집 사장님의 눈물은 우리 청년들의 눈물이다. 고추장이 필요한 떡볶이에 양념장을 넣고서 떡볶이가 완판되기를 바라는 사장님처럼 생각하도록 교육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소비자인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어떤 인재인지 관심도 없으면서, 학교와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기업에서 환영받는 인재가 된다고 착각하고 있다.

교육은 노동시장과 격리된 것이 아니다. 매우 밀접해야 하고, 노동시장 변화에 따라 교육도 변화돼야 한다. 그래야 P시 떡볶이집 사장이 흘렸던 눈물을 우리 청년들이 흘리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