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교수·직원 등 평가전문가 176명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대학평가에 참여한 교수와 직원들은 지금처럼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장무 서울대 총장, 이하 대교협)가 대학종합평가를 맡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분야평가 역시 대교협과 민간기구가 협력해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평가지표에 있어서는 대학 규모와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아 획일적이고 정량적인 평가에 치우쳐 있는 현행 대학평가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본지와 누리리서치가 대교협 위탁을 받아 대교협 평가위원과 각 대학 자체 평가연구위원으로 활동한 교수·교직원 176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18~30일 실시한 ‘대학평가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이다. 현장에서 직접 대학평가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라는 점에서 특히 눈길을 끈다. ◆대학평가 필요하지만 ‘사후 활용’ 미흡= 응답자의 76.2%가 대학종합평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비율도 31.7%나 됐다. 학문분야 평가는 67.5%(반드시 필요하다 27.6%, 필요하다 39.9%)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종합평가의 필요 이유로는 ‘교육의 질 향상’(48.6%)과 ‘경영의 효율성’(46.8%), ‘교육에 대한 수월성 제고’(41.0%)를 지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문분야 평가 역시 ‘교육의 질 향상’(70.3%)을 지적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평가결과는 적절히 활용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26.4%만 ‘그렇다’고 응답했다. ‘그렇다’는 응답(24.6%)과 ‘대체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24.0%)은 비슷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도 11.1%나 됐다. 매우 잘 활용되고 있다는 응답은 1.8%에 불과했다.
◆학문분야 평가는 대교협이 주도해야= 고등교육평가원 설립과 맞물려 가장 뜨거운 이슈는 누가 평가를 맡아야 하는가이다. 교수·직원 등 전문가의 46.4%는 대학종합평가를 대교협이 수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고등교육평가원 같은 ‘독립적인 별도기구’도 44.6%로 비슷했다. 언론사 등 외부기관에 대한 선호도는 7.7%에 그쳤지만 서울지역은 17.1%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왔다. 교육대와 국·공립대는 현행처럼 대교협이 해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75.0%, 51.7%로 가장 높았지만 사립 일반대는 ‘별도 기구’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4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문분야 평가는 다양한 평가 경험이 있는 대교협이 주도하는 현행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대교협과 민간평가기구가 상호 협력해 진행되어야 한다’가 38.9%로 가장 높았으며 ‘대교협이 일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가 29.3%였다. ‘민간평가기구’는 17.4%, ‘관련 학회가 독자적’으로는 12.6%에 그쳤다. 평가방식은 현지 방문평가를 하는 ‘대교협’ 방식(76.0%)이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평가하는 ‘중앙일보’ 방식(24.0%)보다 더 대학발전과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대학 규모·지역 고려한 평가지표 개발= 대학종합평가의 평가지표와 대해서는 ‘대학의 규모를 고려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데 가장 높은 공감(96.4%)을 표시했다.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평가지표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89.2%였다. 획일적·정량적 평가에 치우치는 현행 평가방식에 대한 불만인 셈이다. 대학의 특성화를 유도하는 데 특성을 두어야 한다는 데에도 80.7%가 공감했다. 성과보다 교육개혁 추진과정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75.3%), 양적지표보다 질적인 지표를 강화해야 한다(71.7%)는 의견도 많았다. 학문분야 평가의 경우 지난해 학회를 중심으로 대규모 평가거부 사태를 겪었다. ‘현행 평가 기준과 내용의 타당성 부족’을 요인으로 꼽는 비율이 40.7%로 가장 많았지만 ‘대학 또는 학과 이기주의’라는 응답(39.5%)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대학의 소재지, 규모 등 학교별 특성반영 미흡’과 ‘평가준비(자체평가)를 위한 과도한 인력과 경비지출’이 각각 38.3%, 36.5%로 높게 나타났다. 평가결과 발표에 부담을 느껴서라는 응답도 34.7%나 됐다. 국공립 일반대는 사립 일반대보다 ‘학교별 특성 반영 미흡’(46.7%)과 ‘현행평가 기준·내용의 타당성 부족’(43.3%)을 지적하는 비율이 많은 반면 사립대는 ‘대학 또는 학과 이기주의’와 ‘인력과 경비의 과도한 지출’ 항목이 각각 40.5%와 39.6%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객관성 및 공정성 확보’가 과제= 평가 담당 교수와 직원들은 대학종합평가 기준의 타당성(45.6%), 평가내용의 적절성(47.9%), 평가과정의 공정성(52.0%)에 대체로 공감했지만 여전히 ‘객관성 및 공정성 확보’(54.3%)를 가장 큰 개선과제로 꼽았다. 다음으로 ‘공공성 및 사후연계 확보 필요’(21.3%) ‘전문성과 독립성 확보’(12.8%) ‘평가방식의 효율성 확보 필요’(7.4%) ‘타당성 및 당위성 확보 필요’(4.3%) 순으로 1순위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 종합평가와 마찬가지로 학문분야 평가도 ‘객관성 및 공정성 확보’를 개선사항으로 꼽은 비율이 46.8%로 가장 높았다. 김영식 대교협 사무총장은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 연계 등 평가결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대학 규모와 지역에 따른 특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 중에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