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하기로는 이번 선거가 정책 선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아니 그렇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줄기차게 보냈다.

그러나 선거 막바지에 이른 지금 유권자에 머리에 남는 것은 ‘투표행위’ 밖에 없다. 내가 왜 이 사람을 선택했는가에 뚜렷한 답을 내놓기가 힘들게 됐다.

그야말로 여론몰이에 휩쓸리거나 반대를 위한 반대 심리만 작동할 것 같다. 선거가 으레 그런 것이라는 말도 있지만 도가 좀 지나치다.

여당 쪽은 박근혜 의원이 중심에 서 있다. 예선에서 탈락한 그룹이 동맹한 이른바 ‘친박연대’의 동태가 이슈화가 되어있다. 뭐라고 뚜렷하게 내놓을 정책이 없으니 그렇겠지만 반대쪽 진영보다는 자가 분란 수습에 정신이 없다.

한편, 야당은 여당 독재를 저지하기 위한 안정선 확보를 중요 이슈로 내세우고 있다. 이곳 또한 무소속 문제가 걸려있다. 어디가 적인지 아군인지 분간하기 힘들 정도다.

정당의 난립 또한 선거전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야당은 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에다 무소속연대(그것도 여·야로 갈림)까지 합치면 5개나 된다.

다양성의 정치실험이라면 피할 수 없는 과정이지만 사정은 그렇지가 못하다. 정책노선이 분명치가 않은 가운데 좌우로 갈려 있다.

뒤늦게 불붙은 ‘대운하 계획’만 제외한다면 어느 당이 어떤 노선을 주장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나마 정책 기치가 분명했던 민주 노동당도 분화해 진보신당이 출현했다.

정치계 자체의 분화현상은 유권자의 선택을 흐리게 한다. 게다가 뚜렷한 정책적 입장을 표시하지 않아 유권자들이 선거 자체에 흥미를 잃고 있다.

4년임기의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는 이를 테면 유권자외의 사회계약을 맺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관점에서 국민 유권자의 제1 관심사항은 무엇일까. 말 할 것도 없이 교육이다. 지금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현실은 당신의 문제이자 나의 문제다.

지나쳐도 매우 지나친 입시경쟁과 영어교육 태풍. 이미 사교육이 공교육을 능가하고 있다. 그러나보니 공교육, 그것도 지방 대학 문제는 관심 반경에서 벗어나 있다.

교육적 입장에서 아무리 소리쳐도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 재생산되지 못한다. 이를 대변할 수 있는 입장에 선 사람은 역시 국회의원이다.

국회의원은 문제의 해결사는 아니지만 국가적 쟁점을 생산해 내는 데는 다시 없이 좋은 기회다.

여기서 하나의 계약이 발생한다. 적어도 앞으로 4년간 자신이 부를 노래를 무엇으로 택할 것인가에 대한 답이다. 모름지기 이 한 노래를 부르겠다고 유권자와 약속하는 것이 바로 선거다.

대학 경쟁력 강화하자는 소리를 들어 온지 벌써 오래다. 그러나 그 소리가 국가적 이슈로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조건은 앞장 서는 그룹이다. 둘째는 그것을 수용할 대학 환경이다. 셋째는 우수한 학생들이다.

이번 의회가 교육 국회의 닉네임을 받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의회가 움직이면 나라가 움직인다.

이제 선거도 막바지 절정이다. 그러나 유권자의 분위기는 그에 반비례하는 추세다. 그러니까 정치는 국민의 반수만이 하고 그 반수마저도 자신들에게 어떤 대가가 돌아오는 지에는 관심들이 없다.

정치가 공급하지 못하면 유권자가 요구해야 한다. 구체적 이슈로 말이다. 그래야 정책 선거란 말이 걸맞게 나올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