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MBA 개선 방안 의견 수렴

정부가 정원 규제 등 경영전문대학원(MBA스쿨)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기 위해 MBA 개선 방안에 대한 대학들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서울대 등 13개 MBA스쿨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총선 하루 전날인 8일 MBA스쿨 학장들에게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설립된 이후 MBA스쿨 운영 과정에서의 불만 사항을 정리해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교과부의 이번 조사는 신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자율화의 첫 시험대로 MBA스쿨을 선정하고 자율과 경쟁을 유도한 뒤 성과를 봐가며 대대적인 교육 개혁에 나서려는 의도로 보여진다.

최근 MBA스쿨들은 교수 강의평가 점수를 실명으로 공개하는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대학들은 교과부의 이번 조사에서 대부분 정원 문제와 MBA 평가 기준에 대해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교과부의 대책도 정원 문제를 해소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가 2006년 MBA스쿨 설립 허가를 내주면서 다른 대학원의 정원을 줄이도록 하는 바람에 대학들은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한 정원 100명의 소규모 MBA스쿨을 설립해야 했다.

대표적인 예인 서울대는 현재 정원 100명으로 주간 MBA스쿨을 운영 중이다.

정원을 늘리고 싶어도 다른 대학원과의 정원 조정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2008 파이낸셜타임스 랭킹' 10위 안에 든 세계적인 MBA스쿨의 경우 정규 코스 정원이 300명 이하인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올해 랭킹 1위를 기록한 펜실베이니아 와튼스쿨은 정원이 800명이고,하버드 비즈니스스쿨도 900명,프랑스 인시아드는 919명에 이른다.

그동안 정원 규제는 정부의 대학 길들이기 수단으로 여겨지면서 없어져야 할 대표적 규제로 꼽혀왔다.

중국 MBA스쿨도 설립,정원 등에 규제가 없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국내 MBA스쿨과 같은 소수의 정원으로는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글로벌 스탠더드와 거리가 먼 MBA스쿨 평가 기준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정부는 '두뇌한국(Brain KoreaㆍBK)21'의 한 부문으로 경영전문대학원을 평가하고 있지만 파이낸셜타임스,비즈니스위크 등 국제적인 평가 기준과는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MBA의 교육 내용보다는 BK21 사업단의 운영에 대한 평가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외국인 교수 숫자를 교육 내용 평가에 포함하면서 정작 외국인 교수 채용에 관한 규제는 풀지 않아 대학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 대학의 경영학과 교수는 "MBA스쿨에 대한 자율성은 정부가 실제로 교육 개혁 의지가 있는지를 재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