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욱 경성대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직원

이지욱 경성대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직원
이지욱 경성대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직원

‘도서관은 성장하는 유기체다(Library is growing organism)’는 랑가나단(Shiyali Ramamrita Ranganathan)의 도서관학 5법칙 중 마지막 법칙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변한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보면 ‘성장하는 유기체’라는 표현이 올바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도서관은 전례 없는 코로나19 사태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비대면 서비스를 강행해야 했다. 도서관 출입이 불가능해지자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에게 필요한 도서를 전달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예약을 받아 도서관 입구에서 도서를 제공하는 워크 스루,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대출을 실시했다. 몇몇 대학은 강의교재, 수업 전공서적 등을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안내했다. 스캔, 복사 서비스를 활성화해 소장 자원으로의 접근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용자들이 도서관에 오지 못하게 되면서 도서 안내 서비스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도서관마다 전공·주제별 도서, 사회적 이슈를 담은 도서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주제별 콘텐츠로 구축해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했다.

코로나19는 공간·시설 측면에서 볼 때 재충전의 시간이 됐다. 이용자들이 없는 시기 도서관들은 장서 점검과 공간 확보를 통해 최신자료 비중을 늘리며 쾌적한 독서 환경을 조성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돼 부분적 개방이 이뤄졌을 때 도서관은 비대면 수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변화했다. 컴퓨터실에서는 좌석간 거리두기를 실시해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했다. 세미나실과 스터디룸 등을 개방해 비대면 수업시간에 발표·토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하기도 했다.  

비대면 서비스 전환으로 가장 반응이 좋았던 부분은 도서관 프로그램이다. 기존의 리포트 작성법, 논문작성 연구, 학습지원 교육은 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통해 진행됐다. 교육 녹화 동영상을 도서관 홈페이지에 게시해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특히 대학원생의 경우 도서관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준 계기가 됐다. 구독 자원에 대한 온라인 교육 활성화로 학부생에게 구독 자원을 홍보·안내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독서 관련 다양한 비대면 프로그램도 개발됐다. 독서동아리, 독서 토론을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으로 진행하고, 집에서 머무는 시간동안 독서 습관을 만드는 독서 인증제 프로그램 등 독서 진흥을 위한 프로그램이 새롭게 선을 보였다. 

문화 프로그램의 비대면화는 더 많은 참여자들을 모았고, 더 높은 만족도로 이어졌다. 대학도서관마다 예정된 인문학 특강, 저자 초청강연회, 문화 행사를 비대면으로 제공한 결과 이용자는 거리·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더 자유롭게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었다. 유튜브 시대에 도서관의 다양한 강연에 온라인 참여가 가능해지면서 만족도는 더욱 높아졌다.

전국의 대학도서관에서 제시한 ‘2020년 대학도서관 시행계획’을 분석해보면, 코로나19는 교육부의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9-2023)’의 5개년 계획을 더 빠르게 앞당겼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연구 큐레이션 서비스, 주제별 가이드 등의 서비스 분야부터 스마트 도서관, 무인화 서비스, 디지털 미디어 활용 교육 등의 추진 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도서관에게 더욱 필요한 과제다.

비대면이 일상이 된 뉴노멀 시대지만, 성장한 서비스 덕에 대학도서관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휴관기간 동안 재개관 문의가 끊이지 않을 뿐더러 강의교재 대출부터 연구지원 교육 등 이용자의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전국의 대학도서관은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과거를 명예롭게 여기고, 미래를 창조하라(Honor the past, Create the future)’는 마이클 고먼의 신도서관학 5법칙 중 마지막 법칙이다. 코로나19라는 어려운 시기에도 성장을 일궈낸 대학도서관이 이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역할을 위해 ‘미래를 창조하는 대학도서관’이 되기를 희망한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