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아침이 밝았다. 온 세상이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혼돈에 빠진 느낌이다. 이 시간에도 코로나19는 온 나라 고을로 확산되고 있다. 백신이 처방되곤 있지만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요원하다. 대학도 코로나19 상황에서 신입생 충원과 1학기 학사준비로 초비상이다.

이제 학생들이 교실에 모일 수 없는 상황을 가상하고 교육을 준비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 수천 년 동안 ‘정통’ 방법으로 여겨진 ‘면 대 면’ 교육이 ‘비대면’ 교육에 그 자리를 내주게 됐다. 교실과 실험실에서 이뤄진 교육이 가상공간 교육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중고교 시절 가상교육에 익숙한 학생들은 이러한 변화에 별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눈치다. 오히려 교육을 실시하는 교수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치 못해 진땀을 흘리는 현실이다.

지난해는 얼떨결에 온라인 교육의 장으로 떼밀려 질 낮은 교육도 어느 정도 이해됐지만, 이제 한 바퀴 돈 시점에서 교육의 질 문제로 다시금 논란이 야기된다면 대학과 교수에게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학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새로운 교육환경에 대응해가고 있지만 인프라와 제도, 그리고 콘텐츠의 문제는 여전하다. 어느 것 하나 단기간에 떡 찍어내듯 만들어낼 수 없는 것이기에 불안감이 더 하다.

‘교육 패러다임 대전환기’에 걸맞은 교육주체들의 협업이 필요한데 현장에서 느끼는 감도는 낮다. 니즈(needs)는 구체적이고 다양한데 대응책은 걸음마 수준이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 몫이니 걱정이다.

새해에는 정부나 대학 모두 새로운 각오로 혁신에 임했으면 좋겠다. 정부도 그동안의 규제 위주 정책을 내려놓고, 어떻게 하면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특성을 살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인가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기 바란다. 대학을 규제의 틀에 잡아놓고 옴짝달싹 못하게 만드는 기존 정책을 거둬버리고 미래인재 양성의 요람인 대학을 신명나게 해주길 바란다.

정치의 영향력이 극대화된 시대다.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가 논란이 되고 있다. ‘교육의 정치화’만은 극력 피했으면 좋겠다. 정치가 개입돼 교육 본연의 논리가 왜곡될 때 자칫 대학혁신의 기운이 제 힘을 잃을까 걱정이다.

대학당국도 학생만 오면 등록금 받고 졸업장 내주면 그만이라는 고답적인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지 않으면 사회가 대학을 버리는 시대다. 과거 패러다임으로 살 수 있으면 그 자체가 ‘기적’인 시간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새해에는 대학가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의 열기가 가득 찼으면 좋겠다. 코로나19로 예기치 않게 다양한 교육혁신 방안들이 제기됐지만 결국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귀결됐다. AI, Big Data, AR, VR, MR 등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교육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이 교육혁신의 주 내용을 차지하고 있다.

해외 유수대학들의 교육혁신 사례를 벤치마킹해 교육에 적용하려는 국내대학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개별대학이 도입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을 컨소시엄을 구성해 도입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초중등 교육에 올인했던 국내 에듀테크 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대학가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바람을 일으키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 바람을 더욱 거세게 일으켜야 한다. 정부는 정책으로, 대학은 혁신으로, 교수들은 교육으로 바람의 불씨가 돼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은 교육을 무한경쟁 시대로 몰아넣고 있다. 특히 고등교육 분야는 국내 대학만의 경쟁리그가 아님이 분명해졌다. 해외 유명대학과의 ‘무한경쟁’이 벌어지는 현실이 된 것이다.

혹자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이제 대학은 ‘성장산업’이 아니라 ‘사양산업’이라고 비아냥댄다. 하지만 해외 교육선진국이 교육 서비스 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미연에 알아차리고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음을 왜 모르는가?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 인구는 격감하고 있지만 세계 인구는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시장 확대 관점에서 대학이 인바운드(in bound), 아웃바운드(out-bound) 해외 교류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K-에듀 국제화를 촉진할 수 있는 외교노력에도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대학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란 본지의 슬로건은 아직도 유효하다. 2021년 신축년(辛丑年)이 우리나라 대학 경쟁력이 획기적으로 증진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지 또한 그러한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 할 것을 다짐하는 바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