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란 호남대 교수(AI융학대학 학장)

백란 호남대 교수(AI융학대학 학장)
백란 호남대 교수(AI융학대학 학장)

최근 들어 사회 전반적으로 챗GPT(ChatGPT)가 핫이슈다. 매일 관련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앞다퉈 각자의 브랜드화된 챗GPT를 소개하고 있다. 하물며 YOUTUBE, 온라인 교육콘텐츠 플랫폼, 각종 학회에서도 다양한 ChatGPT 강연들이 범람하고 있다. 

2016년 3월 알파고 등장으로 인공지능의 재조명이 사회를 흥분시켰던 것보다 관심과 반응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매우 뜨겁다. 이와 같이 모든 분야에서 관심이 고조된 이유는 챗GPT가 누구나 사용하고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진입장벽이 매우 낮고, 각자에게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결과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챗GPT를 대학의 현장에 도입해야하나요?”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물이 높은 곳에서 흐르듯이 사회 전반에서 챗GPT 사용은 기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면 대학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사용을 해야할 지 염려와 우려가 더욱 쌓여가고 있다. 대학이 시대에 맞는 교육을 위해서는 사회 트렌드를 빠르게 읽고,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야 할 사명이 있다는 점에서 챗GPT의 사용에 대한 고민은 더욱 크게 느껴진다. 하지만 대학은 챗GPT를 두려워할 게 아니라 교육 현장 적용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지혜를 어떻게 모아야 할 것인가? 그 방향성은 무엇일까? 등 다양한 질문들을 던질 수 있다. 대학교육의 목적(학문에 대한 전문지식 제공)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그러므로 대학교육은 ‘Back to The Basic’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교수자들은 신기술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전공영역에 응용할 수 있는 전문역량을 갖춰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인공지능 사고력(AI Thinking)을 갖출 수 있도록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를 먼저 알게 해주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지식의 기본(Basic)에서부터 출발해, 미래를 볼 수 있는 비전 제시(To the Future)를 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우선 인공지능의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제일 중요한 과정이 인공지능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교양, 전공교육과정에서 전공별 인공지능의 기본원리로부터 데이터의 처리 과정과 알고리즘 동작 과정을 전공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간의 능력과 인공지능의 능력을 구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기계가 할 수 있는 것은 기계에 맡기고, 인간이 잘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해야 하도록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즉, 인공지능을 이용해 각 전공영역의 프로젝트나 사회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인간은 0에서부터 1을 창출 할 수 있는 혁신을 이뤄갈 수 있다는 얘기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인공지능을 활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혁신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이것이 바로 창의성이다.

그러면 어떻게 창의성을 잘 가르칠 수 있을까? 우리가 항상 고민하는 큰 숙제이기도 하다. 창의성 교육의 대표적인 사례는 스탠포드대학(Stanford University)의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자인 씽킹의 교육 목적은 학생들이 혁신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과정을 분석해 보면 첫째, 공감으로부터 시작한다. ‘누구를 위해’ 디자인을 하려는지 설정하고 대상자(디자인을 사용할 자)의 필요와 감정에 대한 공감을 이해하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의 정의(Definition)를 내리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처음부터 올바른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그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아이디어 생성(Ideation)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고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이다. 넷째,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피드백에 따라 디자인을 바꾸거나 재창조하는 검증 단계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운영전략은 교육과정의 환류를 구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문제정의가 잘못됐다면 다시 두 번째 단계로 돌아가 정의를 재설정해 또 한번의 과정을 거치는 반복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반복의 튜닝을 통해 결과물은 실효성 있게 탄생할 것이다. 이렇게 창의성을 도출하도록 정규교육과정이나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챗GPT를 사용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활용이 될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의 챗GPT 사용은 기술 발전의 한 과정이므로 무시하고 피할 수 없다. 학생들은 챗GPT를 수업 내용에 공격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기에 교수자들도 기술의 발전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학습자들과 함께 공유하며, 협력하는 수업 방식의 대전환이 이뤄져야 한다. 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인간의 무한한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대학 구성원들이 디지털 대전환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