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욱 홍익대 중앙도서관 열람팀

이지욱 홍익대 중앙도서관 열람팀.
이지욱 홍익대 중앙도서관 열람팀.

올해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9-2023)의 마지막 해다. 매년 개별 대학도서관에서 제시한 발전계획을 분석하면 변화하는 서비스로 대학 구성원에게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학과 연계·협업을 통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창의협업 환경 조성 등으로 대학의 중추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학도서관의 모기관인 대학 본부에서 대학도서관을 그렇게 바라보고 있는 지는 생각해보면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대학도서관 관계자들은 대학의 심장이자, 핵심기관이 대학도서관이라고 주장하지만 여전히 부속기관의 일부라는 인식이 많다.

대학도서관이 가진 가치를 알리고, 위상을 높이며, 대학의 핵심기관이라고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이 무엇일까?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원론적으로 접근해보면 답이 나온다. 대학의 기본 사명은 교육과 연구다. 이러한 사명을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은 소장·구독하는 자원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고, 학생들의 수요를 기반으로 도서관 내 학습·연구 공간 조성으로 학업 만족도를 높이는 기관이다. 또한 대학 특성화에 맞는 독서·문화·학습·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운영해 대학평가와 국고사업에 기여할 수 있다.

교육부의 대학평가는 전환되고 있는 시점이다. 기존의 대학기본역량진단이 폐지되고,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활용해 국고사업 등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도서관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 소장·구독자원, 시설 및 환경개선, 이용자 서비스 세 가지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맞춤형 소장·구독자원 확충을 통한 자료구입비 재원 마련이다. 학과별·단과대별 수요조사를 통해 코어 컬렉션 구축과 더불어 국고 및 다양한 사업비를 통해 전자자원을 구독하고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이 필요하다. 이는 연구 학습에 맞는 전자자원 확보와 함께 자료구입비 지표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며 교육비 환원율 지표도 향상될 것이다.

다음으로 수요 기반 학습·연구 시설 환경 개선이다. 다수의 대학이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도서관을 리모델링했던 것처럼, 교내 타부서와 연계한 도서관 내 창의·협업 공간 마련, 국고지원 사업을 활용한 연구 공간(캐럴 등)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시설 투자비용 평가 지표와 교육비 환원율 지표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특성화를 반영한 이용자 프로그램이다. 대학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독서·문화·학습·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과 연계를 통한 연구력 강화 특강, 독서·문화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실적은 정기적으로 국고지원 사업이나,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되고 있다. 여기서 중점사항은 우리 대학의 특성화를 반영해 로드맵을 그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와 연계한 독서·문화 프로그램, 소수집단을 위한 서비스 등과 같이 대학의 비전과 추진방향에 맞추고 학내 구성원의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다. 이는 대학기관평가인증 지표 중 교수-학습프로그램 운영 실적, 연구성과(연구윤리 교육 실적), 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적과 같은 평가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에선 언급한 사업진행에 앞서 대학도서관이 과연 준비가 돼 있는지도 살펴봐야한다.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기적으로 수요 조사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야하며 환류작업으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학도서관에 국고사업비를 투입해 새로운 전자자원을 구독하고, 학습 공간을 리모델링하고, 관련 특성화 프로그램을 실시해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추후 신규 국고지원 사업 신청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되고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한 재원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학들은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도서관 지표에 대해 감소하는 사서 수에 맞는 지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위에 제시한 대학도서관의 추진 사례를 살펴보면 감소하는 인력에 맞춰 기준을 내리는 것보다 인력 확충이 더욱 절실하다고 느껴진다. 대학도서관의 연구·학습지원 서비스는 대학평가 지표 향상과 국고지원 사업 선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대학 구성원 모두가 인지하기를 기대한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