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기 사업 성과 뛰어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 산·학·연·관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대전과학기술대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실습 장면. (사진=대전과기대)
대전과학기술대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실습 장면. (사진=대전과기대)

[한국대학신문 김한울 기자]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1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 이어 지난해부터 ‘2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전문대학들은 대학 혁신 생태계 저변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사업 참여 대학들은 1차 사업 동안 거둔 성과와 추진실적을 넘어, 대학의 중장기 발전과 연계한 혁신 방향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산·학·연·관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미래 고등직업교육의 혁신모델을 만들어나가는 데 힘쓰고 있다.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전문대학 가운데 대학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해나가는 개별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해봤다.    

강원도립대학교(총장 김광래)는 자체적인 ‘GRU-RC’ 프로그램을 토해 학생들의 대학 적응력을 높이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다. 선진 교수법 적용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대학 교육과정에 맞는 최적의 교수법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교수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래 교육에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혁신 ‘메타버시티 캠프’를 구축했다.

경민대학교(총장 홍지연)는 사업의 핵심 전략별 다양한 추진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K1/M1 시스템’을 고도화해 학생성공 통합지원체계를 구현했다. 교과·비교과 과목의 경계를 허물어 학생의 역량별 준비도에 대해 조언하며 자체 대화형 어드바이저 봇을 구현해 학생들이 모바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했다.

경북도립대학교(총장 김상동)는 국립안동대와의 통합 추진으로 새로운 대학 통합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나아가 경상북도의 고등교육 정책을 견인하는 실무인재 양성 ‘Pathway 대학’으로의 도약을 위해 △학생 First 5대 정책 수립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고도화된 평생교육 등을 대학 발전의 핵심과제로 설정했다.

계명문화대학교(총장 박승호)는 사업을 통해 ‘TLT 기반 교육체계’를 완성하고 데이터 기반 교육성과 분석을 통해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인재들의 창의적 직업교육 역량 제고를 위해 각 영역별 사업 목표를 설정해 성공적 사업운영을 위해 대학의 역량을 쏟고 있다.

구미대학교(총장 이승환)는 중장기 발전계획 ‘구미 Renovation’을 통해 대학 자체적인 교육모델을 정립함과 동시에 3000여 개 산업체와 산학협력 인프라를 구축했다.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인재 양성을 위해 미국, 필리핀, 일본 등 다양한 나라에 해외 연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우수한 해외 취업처를 발굴하고 해외 유학생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군장대학교(총장 이계철)는 사업을 통해 교육의 글로벌화와 고숙련 기술 인력 양성을 목표로 삼고 교육 체계 변화에 빠르게 나서고 있다. 내일의 산업을 이끌 ‘창조적 인간교육’과 ‘고숙련 전문기술인 육성’이라는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한 특성화 전략을 활용해 고숙련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학생들의 실무역량 향상에 집중한다.

기독간호대학교(총장 김미희)는 대학발전계획인 ‘비전 2025+’와 연계해 실무능력이 우수한 글로컬 기독 간호 인재 양성대학이 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융합적 전문지식을 갖춘 미래 보건의료 인력을 양성하고자 마이크로 특화 전공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대동대학교(총장 민경화)는 신산업·신기술, 지역산업과 연계한 대학 특화 이미지 달성을 위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 운영 미래 직업교육 인프라 및 학사제도 개선 등 목표를 수립했다.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역 전략산업 분야에 맞춰 올해 2개 학과를 신설해 지역 내 정주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대림대학교(총장 황운광)는 직무에 최적화된 인재 확보 필요성을 만족하고자 직무역량기반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고도화하고 교육품질의 관리체계를 시스템화했다. 미래를 이끌 신산업 분야에서 창의성을 갖추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학생활동 중심의 산학협력 역량 강화와 창의융합 교육 모델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대전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효인)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공간 ‘DST DX CENTER’를 구축해 미래교육 대응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능력과 인성을 겸비한 ‘DST 창의융합형 인재’ 배출을 위해 △지역사회 현안해소 △재학생 전공 역량강화 △지역사회와 상생협력 등에 나서며 대전과기대만의 혁신교육 가치 창출에 나선다.

동아방송예술대학교(총장 최용혁)는 방송·예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캠퍼스 대전환을 통한 방송예술 분야 Global Top Tier 대학’으로 도약을 사업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UNIQUE DIMA, Exciting 캠퍼스 구축’이라는 혁신 방향을 설정해 대학 이름 자체가 K-CULTURE를 상징하는 고유의 트렌드로 자리잡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동양미래대학교(총장 김교일)는 실용 기술 중심의 프로젝트식 교육으로 ‘P²S+형 인재’ 양성을 준비한다. 특히 55개, 116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작품개발 동아리 ‘PD Lab+’은 동양미래대만의 창의적 직무역량 강화 교육 방식으로 대학은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토대로 학생들의 능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동의과학대학교(총장 김영도)는 모든 교육과정을 산업현장에 필수적인 현장직무형 인재 양성 목표를 세워 학생 직무역량 성취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META’ 전략을 세웠다. 미래 산업을 이끌 직업인 배출을 위해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하고 ESG 교육을 발전계획에 반영하는 등 지속가능한 평생직업교육 기관으로의 성장을 꿈꾼다.

부산경상대학교(총장 최미현)는 국내 최초로 디즈니애니메이션 제작툴 교육 센터인 ‘툰붐 우수교육인증센터’를 구축해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교육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전환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교육 인프라와 환경을 개선해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대학 혁신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올해 동주대학교에서 교명을 변경한 부산보건대학교(총장 정학영)는 교육혁신을 위해 새로운 변화에 나선다. 사업을 통해 보건·의료 융복합 교육으로 미래지향적 ‘Health campus’를 실현하고 고등직업교육 혁신 메카로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대학을 위해 다양한 지역 사회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부산여자대학교(총장 정영우)는 ‘BWC QUADRUPLE-A’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과 연계해 △핵심역량기반 교육 혁신 △산학협력 컨버전스 혁신 △글로컬 가치 혁신을 꾀한다. 특히 BWC핵심역량인증제를 도입해 재학생들이 직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성을 함양하고 전공 핵심 역량을 강화하도록 돕고 있다.

부천대학교(총장 한정석)는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역량 제고에 힘쓴다.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된 제2회 유네스코 국제 콘퍼런스에서 부천대의 유아교육 사례가 대표 교육혁신 성과로 소개되는 등 지역의 대표 대학을 넘어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대학으로 성장하고 있다.

삼육보건대학교(총장 박주희)는 미래교육의 방향성으로 ‘회복’을 뽑으며 ‘참교육을 회복하는 건강한 대학 디지털 에덴 2036’을 선포했다. 그 일환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ACE 인재 양성 프로그램’은 삼육보건대만의 대표적인 해외연수 프로그램으로 해당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며 글로벌 인재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서영대학교(총장 김정수)는 ‘미래산업가치 실현을 위한 TOP 실용교육 선도대학’을 목표로 지역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특화된 전문기술인력 양성에 주력한다. 특화된 전문기술인력를 양성하기 위해 △역량 기술 교육혁신(T) △열린 산학 공동교육(O) △창의인 특성화 교육(P)의 3개 혁신전략을 수립해 전략별 성과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서정대학교(총장 양영희)는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Lifelong & Global 인재’ 양성을 위해 혁신전략체계를 구축하고 글로컬 산학협력 허브대학으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경계 없는 혁신을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평생지도교수제를 통한 체계적인 학생 관리, 다양한 자격증 지원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