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택 계명문화대 교수

조규택 계명문화대 교수
조규택 계명문화대 교수

서애 류성룡(1542-1607)은 국난을 대비해 쓸 만한 장수를 발굴하는 데 관심이 많았다. 특히 반대에도 불구하고 어릴 때부터 주시했던 이순신을 정읍 현감에서 정3품의 전라 좌수사로 추천한 것은 그의 혜안 덕분이다. 권율을 형조정랑에서 국경지대의 요충지인 의주 목사로 보낸 것도 그의 선견지명이다. 그가 설치한 훈련도감은 조선 후기 5군영 가운데 가장 중추적인 군영으로 성장했으며, 지방에서 바치는 공물을 쌀로 바치게 하는 선구적인 정책도 훗날 대동법으로 정착하게 된다.

류성룡이 실학을 중시하며 국가 개혁을 생각했던 것은 실로 방대했다. 농업 생산성 증대를 위해 새로운 시책을 추진했고, 염업‧수산물 유통 등 물자의 수급 조절과 품질향상에서 실용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그가 고통받는 백성들을 구제하는 데 있어 탁상공론이 아닌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왜란을 통해 고통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이다.

류성룡은 위로는 퇴계 이황의 사상을 이어받고, 아래로는 조선 후기 실학파를 연결하는 교량적 역할을 한 경세가(經世家)였다. 임진왜란을 겪은 조선의 재상으로서 그가 가진 경험과 식견을 통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던 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국보 제132호로 지정된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 전체 윤곽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우리를 성찰하게 한 역사서이자 문학서이다. 임진왜란 사(史)를 안다는 것은 우리 역사를 알아야 한다는 단순한 논리와 다른 차원이다.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우리는 끊임없이 ‘임진왜란’을 되새기고 전란의 참사를 기억하며 주변국의 야욕을 ‘징비’해야한다.

서애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힘을 쏟아 ≪징비록≫이라는 불후의 명작을 남겼다. 그는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 불이행으로 인한 쓰라린 경험을 왜란에서 절감했다. 그리고 이 땅에 다시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없어야 한다고 판단해 후세대가 전쟁을 미리 경계하고 방지하도록 일깨우고 있다. 우리는 이런 선조의 위업을 거울삼아 다시는 전쟁 위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과거에서 교훈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한반도 주변은 중국, 일본 같은 강력한 해군력을 갖춘 해양 세력과 북한이라는 핵무장 세력이 상존한다. 중국은 대만해협 봉쇄, 이어도 분쟁으로 우리와 긴장을 조성할 수 있다. 일본도 독도 영유권에 대한 도전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항공모함도 보유하고 있다. 북한은 우리 민족이지만 최근 가장 호전적인 모습을 보인다.

우리 군은 북한군의 공격에 대비해 3축 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북의 핵을 제어하기엔 한계가 있다. 북한의 핵폭탄은 100여 개나 되고, 고정식 발사기지뿐만 아니라 이동식 발사대와 미사일 추진체도 즉각 발사가 가능한 고체 연료로 전환하고 있다. 우리 군의 3축 체계로 5분 안에 적의 공격을 사전에 탐지‧요격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즉, 우리의 재례 무기로는 북의 핵무기를 억제할 수 없다. 우리가 보유한 현무-5 미사일로 적을 공격할 수는 있지만 핵무기에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잦아진 북한의 핵 위협은 우리를 계속 위협하고 괴롭힐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위권 차원에서라도 전술핵 정도는 보유해야 할 것이며, 핵 추진 잠수함도 개발‧배치해야 한다.

서애 류성룡은 후손에게 임진왜란과 같은 치욕을 다시는 겪지 않게 하려고 그의 ≪징비록≫을 통해 유비무환의 정신을 일깨우고자 했다. 우리 해군은 류성룡의 정신을 함정으로 부활해 핵심 해상세력으로 운용하고 있다. 서애 류성룡함은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2번 함으로 적의 미사일을 추적‧요격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