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회 대학교육 정책포럼 열려 ‘소규모 대학지원 TF’의 활동 성과 바탕으로 논의 진행
“지역 전문성 갖춘 소규모 대학이 특화 산업·평생교육 주도”…지방소멸 해소, 고등교육 다양성 위해 소규모 대학 역할 강조
중·대규모 대학과 동등한 지표로 평가하는 현행 대학기관평가인증 개선 요구 주장 이어져
대학 평가 대비하려면 소규모 대학만의 강점 앞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데 의견 모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6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주최한 ‘제70회 대학교육 정책포럼’ 참석자들은 종합토론을 통해 소규모 대학의 강점을 반영할 대학 평가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강성진 기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6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주최한 ‘제70회 대학교육 정책포럼’ 참석자들은 종합토론을 통해 소규모 대학의 강점을 반영할 대학 평가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강성진 기자)

[한국대학신문 강성진 기자] “지방 소멸 문제 해결과 고등교육 다양성 확보를 위해 소규모 대학을 지원해야 한다.”

26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개최된 ‘제70회 대학교육 정책포럼’에서 소규모 대학 교원들이 이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주최로 열린 이날 포럼의 주제는 ‘소규모 대학 발전을 위한 고등교육정책 개선방안’으로, 2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으로 구성됐다. 이날 포럼은 소규모 대학지원 TF 활동 성과를 토대로 소규모 대학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교협은 지난해 6월 소규모 대학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규모 대학지원 TF를 구성한 바 있다. TF에는 7개 소규모 대학 총장과 8개 대학 교원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6개월 동안 재학생 4000명 이하 소규모 대학의 발전에 필요한 정책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이들의 활동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소규모 대학 교원들과 함께 각 대학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위기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자리다.

참가자들은 소규모 대학이 지역과 함께 성장하도록 돕는 정책 마련과 대학 평가 지표 개선을 제안했다. 포럼에 참석한 6명의 소규모 대학 관계자들은 지역 산업·구성원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소규모 대학의 역량을 강화한다면 지역 소멸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소규모 대학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아야 한다”라며 대학 평가 지표를 재학생 규모 등 정량이 아닌 각 대학의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수 중원대 기획처장은 미국과 일본의 소규모 대학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도 소규모 대학이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강성진 기자)
김형수 중원대 기획처장은 미국과 일본의 소규모 대학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도 소규모 대학이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강성진 기자)

■ 해외 사례·평가 기준 개선해 위기 극복하는 방안 제시 = 김형수 중원대 기획처장은 해외 소규모 대학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소규모 대학이 지역사회 특화 연구·인재 양성 역할을 해내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소규모 대학 발전을 위한 정부 고등교육정책·재정 지원 방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형수 처장은 “일본의 경우 정부에서 소규모 대학이 지역 활성화 사업과 평생교육을 주도하도록 지원한다. 각 대학이 지역에 대해 갖춘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상생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한다”라며 “한국의 지역 소재 소규모 대학 또한 지역 소멸로 인해 입학자원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소규모 대학이 교육의 범위를 평생교육과 지역 산업으로 넓히도록 돕는다면 지역에 필요한 교육을 구현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의 사례처럼 한국도 각 대학의 성과와 배경을 토대로 소규모 대학의 강점을 강화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처장은 “미국은 성과·지역 연계·인구 특성 등을 반영해 대학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각 대학이 설립 목적과 소재지에 부합하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각 대학은 지원책의 도움을 받아 지역에 필요한 역할을 해낸다. 연구중심 대학이라면 지역사회에 전문성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며, 의료 중점 대학이라면 지역에 필요한 의료체계를 구축한다”라고 밝혔다.

권경만 한국성서대학교 전략기획실장은 현행 대학기관평가인증 지표를 개선해 소규모 대학의 특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사진=강성진 기자)
권경만 한국성서대학교 전략기획실장은 현행 대학기관평가인증 지표를 개선해 소규모 대학의 특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사진=강성진 기자)

권경만 한국성서대학교 전략기획실장은 ‘소규모 대학의 생존을 위한 대학기관평가인증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권경만 실장은 현행 대학기관평가인증 지표는 대학의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평가한다고 지적하며, 소규모 대학이 가진 역량을 온전히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권 실장은 “그동안의 대학 평가 지표는 수도권·비수도권, 국공립·사립, 대학 규모 등 각 대학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평가했다. 소규모 대학이 강점이나 특성을 내세우지 못하고 불리한 결과를 받게 된 이유”라며 “소규모 대학이 중·대규모 대학과 공정하게 경쟁하려면 재학생 충원율을 비롯한 평가 지표를 조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대학기관평가인증 현장 평가위원 중 소규모 대학의 교원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소규모 대학지원 TF가 지난해 소규모 일반대 6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규모 대학의 교원이 대학평가위원으로 참석한 비율은 14.3%(9명)에 불과했다. 권 실장은 “평가위원 9명이 모두 같은 해에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가정해도, 1년 평가 인원 200명에 대비했을 때 4.5%에 불과하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권 실장은 수도권 소재 소규모 대학에 재직한 교수와 진행한 면담 내용을 인용하며 “평가위원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교수에 따르면 중·대규모 대학의 교수들이 주로 평가위원으로 자리한다. 소규모 대학의 교원들도 평가위원으로 배치한다면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균형 잡힌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표 후 마련된 종합토론에서 참가자들은 소규모 대학이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비하려면 특화된 역량을 갖춰야 하나, 이후에는 규모가 아닌 역량을 평가할 지표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사진=강성진 기자)
발표 후 마련된 종합토론에서 참가자들은 소규모 대학이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비하려면 특화된 역량을 갖춰야 하나, 이후에는 규모가 아닌 역량을 평가할 지표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사진=강성진 기자)

■ 소규모 대학 강점 살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비 방안 제시 = △김창환 극동대학교 기획처장 △윤상환 창신대 기획처장 △이석열 남서울대 교수 △정재민 추계예술대 교수 등 4인의 소규모 대학 교수는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앞두고 각 소규모 대학이 지역 연계·전문성 같은 강점을 앞세워 대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평가 지표에 대해서는 소규모 대학의 역량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김창환 극동대학교 기획처장은 소규모 대학이 특성화 성과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평가 기관은 이를 반영할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창환 처장은 “소규모 대학이 지역 사회나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바가 커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소규모 대학을 지원해 지역 문제 해결에 소규모 대학이 힘쓰도록 도와야 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김 처장은 “대학기관평가인증도 정부의 규제 완화 기조를 따라 경쟁이 아닌 기준을 통과한 대학에 자율성을 주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석열 남서울대 교수는 루터대의 사례를 언급하며 소규모 대학이라는 점을 강점으로 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석열 교수는 “루터대는 현재 입학정원이 85명에 불과한 대학이다. 그럼에도 구조개혁 컨설팅을 거쳐 대학기본역량진단을 통과하고,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혁신사업비와 인센티브를 포함해 총 19억 5천만 원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라며 “소규모 대학의 경우 큰 대학보다 빠르게 소통과 의결이 가능하다. 혁신을 주도하는 이가 리더십을 발휘하고, 대학 구성원들이 위기극복에 뜻을 모은다면 대학기관평가인증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재민 추계예대 교수는 소규모 대학만의 성과를 앞세워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대비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연구 인력을 확보하라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소규모 대학들은 재정이 부족할 때 관리 운영 비용을 먼저 줄인다. 회의비나 출장비도 줄이지만 비교과 프로그램도 같이 없앤다. 그러나 연구원과 학습 개발 인력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일할 인력이 있어야 교육 혁신을 이루고, 평가 기관에 제시할 성과를 마련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소규모 대학이 혁신 성과를 내기 위해 연구원들을 교육하는 등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 교수는 “소규모 대학은 학습관리시스템(LMS : Learning Management System) 구축과 같이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을 망설인다. 정부가 소규모 대학을 지원한다면 이러한 전산화 작업과 이러한 비교과 영역 발전에 힘쓸 연구원들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윤상환 창신대 기획처장은 대학 평가 지표가 소규모 대학의 설립 목적에 따른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상환 처장은 “종교·예술·지역 특화 등 각 소규모 대학은 설립 목적에 따른 특수한 역할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지닌 전문성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라며 “부문별 재정 지원 사업 운영이나 사업비 배분, 소규모 대학의 역할 활성화 등 균등한 역할 분배가 함께 이뤄져야 고등교육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