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는 10~20년을 보고 실시해야"

국내에서도 입학사정관제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가 아직 생소한 것은 사실. 한편에서는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논란과 우려도 끊이지 않는다. 입학사정관제는 과연 선진형 대입 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까? 궁금증을 풀어 보기 위해 정일환 교육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정책위원회 위원장(대구가톨릭대 사범대 학장)을 만나 입학사정관제 정착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입학사정관제 시행의 의미는.

“입학사정관제는 기존 입시 형태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입시 문화를 형성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그동안 기계적인 교과 성적 위주의 선발에서 벗어나 학생의 다양한 능력·잠재 가능성 등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고 고등교육 내실화에 맞는 교육 활동을 위한 목적에서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 것이다.”

-입학사정관제의 객관성·공정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금까지 국민들은 객관적 데이터에 따른 선발에 익숙했다. 반면에 입학사정관제는 기존 정량적 평가에 입학사정관의 주관적이고 종합적인 정성적 평가가 들어가 공정성 논란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전형은 다양한 전형 자료·요소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즉 한 명의 입학사정관에 의한 학생 선발은 이뤄질 수 없다. 그리고 지금도 끊임없이 공정성·객관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입학사정관들의 처우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는데. 

“이 문제는 정부와 대학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입학사정관의 정규직화를 위한 예산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대학 역시 정규직 입학사정관 수를 점차적으로 늘려 나가는 노력과 자체적인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교원과 행정직원 체계 외 입학사정관 직렬을 만들어 학생 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입학사정관의 안정된 신분 보장과 정당한 대우가 이뤄져야 한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조언이라면.

“입학사정관제 운영에서 고교와 대학의 역할만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교육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고교를 지도·감독하는 기관은 교육청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청에 입학사정관제 전담 장학사가 단 한 명도 없다. 이에 정부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예산을 더욱 늘려 대학뿐만 아니라 교육청·고교에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입학사정관제는 인내심을 갖고 10~20년 후를 내다보고 실시해야 하는 제도다. 단순히 성적 우수자가 아닌 글로벌 지식정보사회에 적합한 인재로 길러 내기 위해서는 대학·고교·교육청·학부모가 다 같이 협력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우리 교육의 미래와 교육 수요자(학부모·학생)들의 만족을 위해 일관성 있는 교육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사진 한명섭 기자>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