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자체교육인증과 교육의 질 관리 심포지엄'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 대학들이 자체 교육인증시스템 또는 교육 질 관리 체계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 전체 전공으로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교수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다양한 기준을 마련하고 적절한 참여 동기를 부여하지 못하면 교수들의 외면을 받기 일쑤다.

7일 오후 2시 서울시립대 자연과학관 2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자체육인증과 교육의 질 관리 심포지엄’에 참석한 47개교 대학 관계자 100여 명은 공통적으로 “교수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는 문제가 가장 어렵다”고 토로했다. 공학인증과 같은 외부인증의 경우 워낙 엄격하고 갖춰야 할 객관적 요건과 규제가 많지만 자체교육인증은 전공마다 인증기준이 상이한 데다 교수 고유의 권리로 여겨져왔던 교육 분야를 건드리기 민감하다는 것이 골자다.

이에 대해 이중원 서울시립대 교육인증원장은 “강의시수를 줄여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보조 차원”이라며 “양적 평가에 그쳤던 교수의 업적평가 교육지표를 질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제도적 차원의 보완이 필요할 것 같다. 교육의 질 관리가 우수한 학부·과에는 추가 지원하고 교양교육에 나서는 전임교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차등적인 성과 보상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석우 전북대 학사제도 선진화 부장은 “학과인증 준비를 위한 사업비와 교무·학사 업무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교수 업적평가에 자체학과인증 성과를 반영하고, 참여학과 교수는 매학기 1개 교과목 이상 제출하도록 하는 당근과 채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체인증이 아닌 자체 교육 질 관리 프로그램 CGSIS를 운영 중인 울산대는 대학본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성균 울산대 교무부처장은 “대학본부는 교무처와 시범전공주임 교수, 정보통신처 직원 등 관계자들을 모아 구성한 ‘CGSIS 위원회’는 사업 성과와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해당 교수와 전공에 직접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며 “전체 전공으로 확산하는 과정을 감독하며 새로 진입하는 전공에 대해 자문하고 지원까지 통틀어 안정적인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대는 학과에 적합한 인증기준을 세우는 동시에 인증절차를 간소화·완화하는 방식을 택했다. 해당 계열의 특성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단과대학에 인증기준 수립과 지원체제를 구축하도록 주도권을 주면서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다만 평가 차원에서 인증원 관계자가 개입돼 객관성을 보장하는 식이다.

이중원 서울시립대 교육인증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궁금증은 ‘인증 관리 형태’와 ‘자체교육인증의 궁극적 원인’ 두 가지로 좁혀볼 수 있다”며 “나름대로 시스템 구축, 전산화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학생과 교수들을 설득해야 하는 등 여러 과제들을 당면한 만큼 추후 협의체 구성 등의 방식으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