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희정 본지 논설위원·신라대 국제관광학과 교수

최근 많은 대학들은 각종 평가지표에 몸살을 앓고 있다. 지표에 따라 정부의 지원은 물론이며 향후 대학의 위상과 나아가서는 존립여부가 달려있기에 대학들은 이들 지표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다.  충원률, 취업률, 전임교원확보율 등등... 지표의 항목과 반영비율도 각종 평가에 따라 상이하여 각 대학의 입시전형만큼이나 복잡하다. 

이제 대학도 공개경쟁체제에서 평가받아야하는 시대이며 이들 지표들은 대학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많은 대학들은 이들 지표를 맞추기 위해 많은 재정과 행정력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대학행정의 주요 관심분야가 지표충족과 평가에 집중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대학의 본연의 기능과 역할이 상대적으로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의 평가지표와 관련한 몇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이 표준화된 인력양성기관으로 전략할 우려가 있다. 대학은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기본기능과 역할 속에서 “다양성과 창의성” 이라는 축을 지속적으로 창출해내야만 하는 기관이다. 대학마다의 교육이념과 전공과 학과의 편제적 특성에 맞게 차별화될 수 있는 여지가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예를들어 산학협력부분의 평가지표중 기업평판, 취업률관련 지표가 있는데 이는 예술이나 사범, 인문학계열이 많이 설치된 대학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러한 지표대로 모든 대학이 평가를 받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우리나라는 독특한 교육모델을 가진 세계적 대학의 탄생은 거의 기대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둘째, 양적인 평가와 함께 질적인 평가의 기준틀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 취업률을 하나의 예를들어보면 졸업생이 특정시점에 취업을 얼마나 했느냐도 중요하지만 평생토록 경력단절없이 생애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설계능력과 안목, 직업역량강화도 매우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원봉사나 비경제적 창작활동이 바람직함에 불구하고 특정시점의 취업률이 중요한 지표이다보니 학생들의 취업의 질이나 적성과 장래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취업”으로 재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셋째, 현재의 평가지표로는 졸업생을 지속적인 지원이 어렵다. 대학진학율 80%에 가까운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제 대학은 단순한 고등교육기관이 아닌 지역사회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지방대학의 경우는 지역밀착형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더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하면 졸업생들이 평생동안 사회경제활동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애프터 서비스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대학평가시스템으로는 당해 연도 졸업생 취업과 재학생들 이탈방지를 위한 각종 지표충족에 대학의 역량을 쏟아부어야 하는 실정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여건이 열악한 지방대학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최종 평가자는 정부나, 기업이 아닌 졸업생을 포함한 학생과 학부모와 지역사회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올곧은 기능과 역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 그리고 얼마나 차별화된 교육 및 연구지원시스템을 가지고 있는가,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가에도 초점이 맞추어지는 지표관리가 필요할 것같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