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은 관리직이 농·어업보다 7배 유리

아버지가 관리직에 종사하거나 도시에 거주할수록 자녀가 4년제 대학에 진학할 확률도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 류방란 박사는 ‘교육안전망지원센터’ 개소 기념으로 4일 오후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한 ‘교육격차 해소와 교육안전망’을 통해 이 같은 분석결과를 내놓았다. 류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의 직업과 거주지에 따라 수도권 대학 입학 기회에서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보다는 일반대학이 아버지 직업 지위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38.7%는 아버지가 관리직 종사자였다. 15.9%는 아버지가 농림어업에 종사해 관리직이 약 2.5배 정도 유리했다. 지방소재 전문대는 오히려 농림어업 종사자(26.9%)가 관리직 종사자(22.3%)보다 많았다. 반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의 경우 이 차이가 7배 가까이로 벌어졌다. 수도권 소재 4년제 일반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46.6%는 아버지가 관리직에 종사했다. 반면 농림어업 종사자는 6.8%에 불과했다. 지방소재 일반대학 재학생은 38.7%가 관리직, 15.9%가 농림어업 종사자였다. 거주지역에 따라서도 차이가 컸다. 읍면소재 고교생의 전문대학 진학률은 도시지역에 비해 낮지 않았으나 4년제 대학진학률은 도시지역에 비해 10% 포인트 이상 낮았다. 특별시나 광역시에 거주하는 고교생은 졸업생의 55.0%가 4년제 일반대학에 진학했으나 읍면지역 고교졸업생은 43.8%만이 4년제 일반대학에 진학했다. 읍면지역 고교졸업생의 전문대 진학률은 33.0%로 특별시나 광역시 고교졸업생의 20.0%보다 오히려 10%포인트 높게 나왔다. 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학업 성취도 분석 결과에서도 아버지가 상위 공무원이거나 전문직일 경우 고교 성적 상위 25%에 들 확률이 41.2%로, 농어업이나 단순노무직에 종사(11.39%)하는 것보다 3.6배 높았다. 성적 하위 25%에 들 확률은 오히려 아버지가 농어업이나 단순노무직에 종사할 때가 2.6배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