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최성욱 기자]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수천~수만 명이 상주하는 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대학에서 가장 빈발하는 연구실 화재·폭발사고만 해도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위급한 상황에서 안전매뉴얼이라곤 여전히 ‘소화기를 찾아 진화한다’는 게 전부인 실정이다.

몇 년 전, 한 대학의 실험실에서 화학물질 제조 중 가스가 폭발한 적 있다. 연구자는 얼굴에 유리파편이 박히고 크게 화상을 입는 등 중상을 당했다. 당시 이 연구자는 더 크게 안 다친 게 다행이라고 스스로 위로할 뿐, 사고 이후 실험실 안전교육을 제대로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사람들은 대체로 얼마나 안전하다고 느끼고 있을까. 통계청이 전국 2만 가구(13세 이상, 2012년 기준)를 대상으로 ‘사회안전인식도’를 설문한 결과 10명 중 3~4명꼴(37.3%)로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통사고와 범죄에 자신이 언제든 노출돼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 각각 51.2%, 64.2%에 달했다. 2명 중 1명은 일상에서 늘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이다. 자연재해(22.9%), 국가안보(21.8%), 화재(17.5%) 등의 위험요인에도 20%의 사람들만 ‘안전한 편’이라고 느끼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불안함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에서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에 대처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다는 자체가 불안감을 가중시킨다. 반면 위험성은 알면서도 ‘안전’을 챙기는 데는 인색한 풍토도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이 때문에 안전분야 교수들이 하나같이 입을 모으는 위험예방법은 단연 ‘안전교육’이다. 교수들은 급박한 상황 속에서 본능적으로 위험을 벗어나려면 초중등교육기관부터 대학 심지어 직장에서까지도 안전교육이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위험한 상황에 내몰리면 ‘아는 게 힘’이다. 최근 세월호 침몰사고만 보더라도 승객들이 선박·해양에 관한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알고 있었더라도 선내에서 허망히 죽음을 당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안전의 3요소’가 있다. 첫째 개개인들이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있을 것, 둘째 조직·집단·건물마다 안전 전문가를 둘 것 셋째, 소방호수·대피소 등 안전 기구와 시설을 마련하고 상시 점검할 것 등이 그것이다.

경주 리조트 붕괴, 여객선 침몰 등 잇따른 단체활동 사고로 인해 화창한 봄날임에도 대학가가 꽁꽁 얼어붙었다. 일시적으로 활동을 자제하고 움츠리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대학은 연구실 화재, 건물 붕괴 등과 같은 대형사고의 대처요령을 알릴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더불어 개개인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까지도 세세하게 챙겨야 한다. 특히 위험실험물의 외부 누출이나 2차, 3차 연쇄폭발로 이어질 위험성이 큰 연구실 화재사고 등에 대비해 안전점검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안전교육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