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서울’서만 4곳 신규선정, 탈락대학은 전부 ‘非서울’

非서울권 대학들 “산학협력 본질 망각한 결정” 비난

[한국대학신문 대학팀]2단계 LINC 사업은 ‘In서울’ 대학의 잔치였다. 사업에 탈락한 非서울권 대학들은 ‘In서울’ 대학들을 위한 들러리를 섰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지난해 정부가 사업규모를 대폭 확장하자 서울지역 대학들이 앞다퉈 신규 선정에 도전장을 던졌을 때부터 이미 예견된 결과라는 자조 섞인 반응도 나온다. 실제 뚜껑을 열어보니 서울에 소재한 국민대, 서강대, 중앙대, 한양대 등 4개 대학이 신규 진입에 성공했다. 기존 1단계 대학 중 탈락한 ‘In서울’ 대학은 없었다.

탈락한 대학들은 모두 비(非)서울권 대학들이었다. 기술혁신형과 현장밀착형을 합쳐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대학은 기존 7개교에서 11개교로 대폭 늘어났다. 1단계 선정대학 중 유일하게 탈락한 인하대도 비서울권이다. 반면, 지방대학은 기존 44개교에서 이번에 45개교로 1개교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기존 대학이 대거 탈락하고 신규 대학의 대거 선정되면서 희비교차가 극심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탈락한 대부분의 대학들은 산학협력의 특성과 취지를 망각한 행위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수도권 A대학 관계자는 “수도권역에서는 서울 위주로 뽑혔다. 인천·경기 지역은 거의 배제됐다. LINC사업은 서울지역 대학을 위한 사업이 아니지 않는가”라고 반발했다. 그는 “수도권에서 산학협력이 가능한 기업은 인천·경기 지역 공단에 많다”며 “이 같은 인프라를 바탕으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현장밀착형 LINC사업의 본질인데, 서울지역 대학 위주로 선정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성토했다. 이 대학은 이번 선정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방침이다.

대구·경북지역 B대학 관계자도 침통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우리 대학은 산학협력이 아니면 갈 길이 없다. 우리뿐 아니라 지방대학이 모두 마찬가지다. 지역기업과 연계해 현장형 교육을 시키고 산업현장과 연계 발전하는 것이 지방대학의 숙명이자 기본과제”라며 탈락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이 관계자는 “사업에 선정되지는 못했지만 산학협력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정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경합이 가장 치열했던 충청권의 C대학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결과로 사실상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생각마저 든다”고 강력 반발했다. “우리 대학은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인정을 최초로 도입하는 현장밀착형 산학협력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전대와 선문대, 중부대 등 사립대가 3곳이나 신규로 선정됐는데, 우리대학이 탈락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막막한 상황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호남제주권 D대학은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갈지 생각하면 답답하다”며 “산학협력 중점교수를 모시고 행정계약직도 새로 뽑았는데, 이들이 모두 실직자가 될 상황이다. 사업을 꾸려나갈 돈은 둘째 치고 인건비를 충당할 방법도 없다”고 토로했다.

정부 재정지원은 기대할 수 없게 됐지만 산학협력에 대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는 다짐도 있었다. 동남권(부산·울산·경남) E대학 관계자는 “(LINC사업에서)탈락은 했지만 대학 차원에서 산학협력은 계속 이어갈 것”이라며 “현장실습 부문과 창업교육은 기존 인프라를 통해 이어가면서, 기존 인력의 해고 또는 공백을 막기 위해 특성화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기술이전 부분은 우리 대학이 잘해왔고 창조경제와도 맥을 같이하는 주력 분야다. 이를 바탕으로 특성화사업에 선정될 경우 학교에서 쓸 수 있는 지원비 30% 부분으로 인건비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등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