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균형 발전 VS 교수 이기주의 '찬반 분분'

서울대가 오는 2004학년도 입시부터 사범대와 농생대 등 일부 모집단위를 세분화하기로 했다는 입장에 대해 대학들은 심정적으로 동조하는 분위기. “처음부터 획일적으로 적용한 게 문제였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서울대 발표 이후 대학들이 잇따라 모집단위 광역화를 폐지하고 나설 것이라는 일부 전망과는 달리 대학가의 움직임은 조심스럽다. 이는 모집단위 세분화가 교육부 정책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데 따른 대학들의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상석 숭실대 교무처장은 "광역화가 학문영역간 균형발전 보다 시류에만 영합하는 폐단을 낳을 수 있어 일정부문 세분화 모집을 통해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세분화 주장이 교수들의 이기주의의 발로라는 측면도 있지만 교육부의 ‘획일주의 정책’에 반성의 여지를 준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몇몇 대학에서는 서울대의 모집단위 세분화 추진 방침이 알려진 후 내부적인 논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송운석 단국대 교무처장은 “본부 보직교수들을 중심으로 모집단위 세분화에 관한 논의를 몇차례 가졌지만, 아직은 논의할 때가 아니라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송 처장에 따르면 단국대는 이 문제에 대해 시간을 두고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고려대에서도 이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성기 교무처장은 “이 문제에 대한 교육부 입장이 확고한데다가 학내 여론도 엇갈리는 측면이 있어 조심스럽게 관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려대의 경우 올해부터 정원의 30% 이내에서 전공예약제라는 보완책을 실시하고 있어 전보다 모집단위 광역화에 대한 불만은 수그러진 상태다. 신재호 동국대 교무처장은 “이번 일 때문은 아니지만 그동안 교수들을 중심으로 획일적으로 도입한 학부제에 대해 문제제기가 끊이지 않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었다”며 “장기적으로 모집단위 광역화 등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역 소재 대학들은 ‘서울대만이 가능한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같은 문제를 겪고는 있지만 섣불리 의사표현 할 수 없다는 속사정이다. 고인수 울산대 교무처장은 “내부적으로 모집단위 광역화, 학부제 운영의 부작용이 발견되지만 그렇다고 당장은 ‘모집단위 세분화를 적극 검토할 단계도 아니다”며 “교육부 입장이 강경한데 지방대 입장에서 서울대 처럼 치고 나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분위기와는 달리 일부 대학은 평정을 유지하고 있다. 문희수 연세대 교무처장은 “미국을 중심으로 광역화가 세계적 추세”라며 “도입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번복할 의사는 없다”고 말했다. 양재명 서강대 교무처장은 “학생들의 선택을 존중한다는 입장에서 모집단위 광역화가 바람직하지 않느냐”며 “장점도 있는데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완상 한성대 총장도 “모집단위 세분화는 교수들의 이기주의적 산물”이라며"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에서 볼 때 학부제가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서울대 ‘모집단위 세분화 파장’ 서둘러 진화] [관련기사 : "서울대 BK 지원자금 토해내라"]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