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양성도 노동시장 수요변화에 맞게 이뤄져야

청년실업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노동시장 수요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길상 노동부 차관은 제주도 라마다프라자 호텔에서 열린 하계 대학 총장세미나 둘째날 ‘청년실업과 대학의 역할’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취업 후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학 중 주문식 교육, 연수제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이를 위해 대학은 학점인정, 학제, 휴학조건 등 학과별 정원과 교과과정, 학사운영 등을 유연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취업담당 부서 조직이 보다 전문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산학 연계 교육을 실시하고 취업담당 부서조직 확대와 전문인력 확보를 통해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취업상담과 적절한 진로지도를 제공해야 하며 졸업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 박 차관은 “오랜 경기침체로 신규채용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며 “특히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은 수도권 소재 대학생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고학력 젊은 여성들의 취업기회도 공급을 크게 밑도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차관은 또 “현재 청년실업이 사회문제화 되는 것은 전문대졸 이상 등 고학력 실업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이는 청년층 취업의지와 근로의욕을 약화시키고 인적자본 형성을 가로막아 경제성장의 토대를 약화시킬 수 있다”며 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대학 졸업자들의 업무능력저하로 공개채용보다는 수시채용, 신규채용보다는 경력직 채용 비율이 확대되는 것을 청년실업의 주원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대졸 청년인력들이 좋은 일자리만을 추구하는 반면 업무능력 등 질적 수준은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탓도 크다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청년실업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 등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산학협력을 강화해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며 “학교에서부터 직장까지 원활히 이행할 수 있는 시스템과 고용 인프라를 완비하는 중장기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며 구체적인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중장기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향후 3~4년간 청년들이 취업의사와 능력을 잃지 않도록 연수·직업훈련·일자리제공 등 단기대책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