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대학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유학생 수준도 낮아
균형발전 위해 제도적 배려 장치 및 재정 지원 필요 


[한국대학신문 김소연 기자]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정원감축 등의 교육부 정책 기조로 지방 사립대학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이마저도 어려움이 많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연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지방대 위기의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지난 9월 교육부는 국무회의에서 ‘지방대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서 기존의 지방대학 육성정책과 함께 외국인 유학생을 확대하는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8만 5000명 수준으로 정체돼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확대하기 위해 대학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교류센터 건립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1년 8만 9537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에 있다. 2014년 외국인 유학생 수는 8만 4891명으로 떨어졌다. 국내 유학생의 80%를 차지하고 있던 중국인 유학생들이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지로 눈길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방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사정이 더욱 열악하다. 지방 국립대보다 높은 등록금으로 학생 모집이 어려운 데다 외국 유학생들도 서울에 위치한 대학을 선호하는 탓에 지방 사립대학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지방보다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를 구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서울에 있는 대학에서 공부하길 희망하기 때문이다.  

▲ 2014년 대학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 (출처: 교육부)

실제로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대학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 수가 많은 대학 1위부터 10위는 모두 서울에 위치한 대학들이다. 11위부터 20위 중 지방 사립대는 우송대와 계명대 2곳에 불과했다. 1위인 연세대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약 4600명으로 계명대 외국인 유학생 1111명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지방대는 유학생 유입에서의 수적 열세 뿐 아니라 유학생의 질에 있어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지방대의 경우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능력시험(TOPIK) 3급 정도만 되면 대부분 받아주고 있다. 이공계 유학생에 대해서는 한국어 능력시험(TOPIK)을 3급에서 2급으로 기준을 완화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유학생들은 수업에 따라오지 못하다보니 결국 학업 부진과 교육부실화로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중국 내 상위권 학생은 미국이나 유럽, 일본으로 유학을 가는 반면 중국에서 입시에 실패한 학생 등 학업 의지와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지방 사립대학으로 유입되는 실정이다. 중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의 학생들이 지방 사립대학에 입학한 뒤 불법 체류자로 전락하면서 유학생 질에도 비상이 걸렸다.

지방대 유학생 유치를 위해서는 지금의 방식에서 탈피해 대학 간 연계 협력을 강조해야 한다는 대안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같은 지역권 내 경쟁관계에 놓여있는 대학 간 진정한 협력이 이뤄지기란 요원한 형국이다. 공동 외국인 유치 센터 등을 운영할 수 있겠지만 무늬만 협력이 될 공산이 크다.

지금 이대로라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피해를 고스란히 지방 대학이 받아야 하는 상황이 돼버렸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로 위기를 극복하기엔 지방대에서 체감하는 어려움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경오 선문대 국제교류처장은 “소수의 지방 사립대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로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할 수 있겠지만 나머지 80% 이상의 대학들은 불가능하다. 정부에서 지방대를 위한 차별화된 제도적 장치나 재정지원을 하지 않는 한 서울권 대학과 지방 국립대와의 경쟁에서 지방 사립대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