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불황 여파…해당지역 타 대학 이전도 불투명

[한국대학신문 차현아 기자] 중앙대가 인천시 검단신도시로 캠퍼스를 이전하겠다는 계획이 5년 만에 결국 무산됐다.

중앙대는 학내 온라인 커뮤니티인 ‘청룡광장’을 통해 인천캠퍼스 건립사업이 공식 종료됐음을 13일 밝혔다. 중앙대 측은 인천시와의 기본협약 연장에 뜻이 없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에 따라 인천캠퍼스 건립사업도 막을 내렸다.

인천시와 중앙대는 지난 2010년 검단신도시 지역에 중앙대 인천캠퍼스를 건립하겠다는 내용의 ‘인천시·중앙대 캠퍼스 건립 양해각서’를 맺은 바 있다. 이후 2013년 ‘인천시·중앙대·인천도시공사 기본협약 체결’을 통해 참여 주체 간 역할을 구체화했다.

그러나 중앙대와 인천시 측은 사업을 추진할 건설사를 찾지 못했다. 이후 기본협약의 1년 연장을 통해 재정상태가 양호한 7개 건설사를 중심으로 사업 진행 여부를 타진했으나 결국 최종 참여 의사를 밝힌 건설사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대 측은 “인천시와 사업성 향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으나 인천캠퍼스 추진은 더 이상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중앙대 인천캠퍼스 사업은 검단신도시 부근 99만5000㎡의 부지를 마련하고 인천캠퍼스와 대학병원, 주상복합건물, 공공시설 등을 유치하겠다는 사업이었다. 인천도시공사에서 조성한 용지를 복합개발시행자(SPC)가 매입한 뒤 중앙대에 대학 부지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수익금의 일부는 캠퍼스 건립비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인천시는 계획 변경을 통해 사업의 불씨를 살리고자 했다. 인천시 입장에서는 검단지역에 종합병원 규모의 대학 병원 유치가 필요했다. 중앙대 인천캠퍼스 건립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지난 3월 의과대학과 대학병원만 검단신도시로 유치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변경하기도 했다. 공사와 중앙대SPC가 주거·상업용지 33만㎡를 개발하고 이익금 2000여억원을 캠퍼스 건립 사업비로 쓰는 기존 계획에서 공사가 중앙대 측에 토지를 공급하면 중앙대가 대학병원과 의과대학을 건립하는 방식이다.

중앙대 측은 인천시와 달리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학교는 병원과 의과대학 이전도 검토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대병원 관계자는 “인천시 측에서 사업 계획 변경에 대해 일방적으로 발표했던 내용이지 중앙대 측과 협의가 된 사항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병원 이전 계획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대는 지난 2월부터 신캠퍼스 건립 대신 안성캠퍼스 발전에 힘을 모으고 있다. 지난 2월 1일 중앙대는 안성부총장 산하의 안성캠퍼스 발전기획단을 신설했다. 발전기획단은 신캠퍼스추진단 소속 인사들로 구성됐다. 이용재 신캠퍼스추진단장(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교수)은 안성캠퍼스 발전기획단장으로 보직이 변경됐다.

인천시는 검단신도시에 타 대학 등 대체 시설들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장점과 도시철도1호선과 광역도로망 등 교통망 확충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인천시는 이후 부동산 경기회복세에 맞춰 국내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 측은 “중앙대 캠퍼스가 들어설 부지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상 성장관리권역으로 산업대학, 전문대학 등의 신설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 내에서 대학교 이전이 가능하다. 다른 앵커시설 유치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검단신도시에 두바이투자청이 4조원 가량의 투자로 조성될 예정이라고 알려진 검단퓨쳐시티 역시 사업계획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장기 플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김송원 사무처장은 “두바이 투자를 이끌어내 도시 개발 하겠다는 계획도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급히 나온 내용이다. 인천시 측이 다른 대학을 다시 유치하겠다고만 밝힐 것이 아니라 부채 규모도 줄이는 차원에서 검단신도시에 대한 장기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