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태신(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 전담교수)

청년층의 취업이 어려워지자 2010년부터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책이 눈에 띄게 늘었다. 기존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진흥공단, 창업진흥원에서 지원하는 것을 박근혜정부 이후에는 더욱 확대해 미래과학부 산하 ‘창조경제센터’를 광역지방자치단위로 설립했고 정부, 대기업, 청년층의 삼각벨트를 형성해 창조경제를 활성화를 위한 범국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정책시행 10년이 지났다. 정부의 창업지원제도가 알려지면서 ‘창업=정부지원’이란 인식이 생길 정도다. 하지만 미쳐 준비하지 못한 청년층들이 실제 창업에 뛰어들면서 ‘부실한 창업’으로 인한 병폐가 사회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창업은 취업과 다르다. 한번의 실패로 재기가 힘들 수도 있다. 사전에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단 것이다. 창업 전 마음가짐도 그래서 더 중요하다.

중진공 창업사관학교 전담교수로 2년간 청년층을 지도하면서 느낀 창업을 위한 준비와 꼭 알아야 할 것들을 공유해 보려고 한다. 

우선, 창업아이템 선정 시 인터넷이나 언론매체를 통해 이미 알려진 것들은 피하는 게 좋다. 이미 알려진 아이템으로 창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전체 창업자의 70%에 달한다. 하지만 이미 공개된 아이템은 기창업자와의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하므로 생존 활률이 희박해 진다. 레드오션에 굳이 발을 담그는 것은 위험하다는 말이다. 본인만의 신선한 아이템으로 도전해야 한다.

둘째, 창업전 ‘정책자금’부터 먼저 지원받고보자는 식의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만 40세 이하 청년층에게 생애 단한번 1억원을 지원해 주는 정책자금을 두고 ‘묻지마식 융자’가 판치고 있다. 아이템에 대한 기술개발성, 성장가능성 등의 분석없이 창업을 시작했다가 도산 또는 폐업의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대부분의 이유는 자금운용계획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검증 할 수 있는 시장분석도구 등을 통해 3년후 상환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에 비로소 정책자금 지원을 받아야 한다.

셋째, 아이디어 대한 가능성과 기술성을 파악해야 한다. 창업은 누구든지 할 수 있다. 하지만 머릿속에 든 아이디어를 전문가와 함께 구체화하고, 현재의 기술로 개발 가능한지의 여부, 사전조사 및 분석을 통해 ‘개발가능성’을 명확하게 판단해야 한다. 무턱대고 머릿속 아이디어로 전문가와 상의없이 일단 창업하고 자금확보하고, 이후의 개발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은 창업의 올바른 순서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업자로 하여금 불안한 심리를 조성해 체계적인 창업계획 수립을 방해한다.

넷째, 고객의 입장에서 아이템을 바라봐야 한다.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상품이 개발되고, 또 시장에 진입 혹은 전시되지도 못한 채 사라진다. 창업자들 중 일부는 자신의 아이템을 최고로 착각하는 ‘자아도취형’은 사업보다는 제품에 대한 ‘자기만족’을 우선시 하는 경향이 있다.

창업의 성패는 ‘고객이 내가 만든 제품을 구매를 하느냐’에 있다. 제품개발 단계에서는 항상 ‘내가 고객이면 제품을 살것인가’하는 역지사지의 자세가 필요하다.

취업을 통해 직장에 들어갔다면, 다른 회사로 옮겨갈 수 있다. 하지만 창업은 이와는 다르다.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어차피 모험을 하기로 큰 마음을 먹었다면 창업전 아이템에 대한 충분한 검증, 기술화 가능여부, 시장진입 가능성 등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올바른 정보 입수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창업을 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