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활성화 대책 의미와 배경 전망

교육부가 지난 15일 공청회를 통해 발표한 ‘대학 도서관 활성화 방안’은 지적 자산의 활용과 유통이 관건이 되는 시대에 대학 도서관이 학생들의 취업 공부방에 그쳐서는 더 이상 미래가 없다는 인식 때문이다. 대학의 심장으로 일컬어지는 대학 도서관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최신자료 소장은 그만두더라도 장서수만 봐도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는 서울대가 학생수가 비슷한 미국 버클리대학의 23% 수준에 불과한 것이 현실. 실제로 미국의 하버드대학이 보유한 장서는 1천4백만권, 일리노이나 버클리대학은 9백만여권으로 서울대가 보유한 2백11만권에 비해 4~7배 이상 많으며, 일본의 동경대나 영국의 캠브리지대, 중국 북경대학도 서울대보다 2~3배 이상 앞서 있다. <표> 외국학술지 보유 실정은 이보다 더해 국내 대학 도서관 전체를 합해도 미국 하버드 대학이 보유한 11만종의 4분의 1에 불과한 실정이다. 때문에 이날 토론에는 대학 도서관 침체 원인으로 소장 도서나 전문인력·예산·시설 등의 낙후 현실이 집중 쏟아졌다. 특히 △대학 및 사회의 인식 부족 △낙후된 교육방법과 연구 환경에 따른 저활용 △정보공유와 관련기관간 연계체제 미흡 등 인식과 시스템에 오는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예를 들어 국내 대학의 도서관은 법령이나 학칙에서도 부속시설로 규정되어 투자 우선순위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소외됐으며, 교수들의 교육방식이나 연구 활동이 여전히 강의 중심이고 공유되지 않아 도서관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 교육부가 ‘대학 설립 운영 규정’ 개정을 통해 대학 도서관을 부속시설에서 교육용기본시설로 전환하고 도서관장이 교무위원회에도 참여해 대학내 위상 강화를 유도하겠다는 것은 바로 이런 시각을 반영하는 것이다. 사서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주제별 전문사서 육성 프로그램 개발 운영 대학을 장려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이유. 중복 연구 방지와 연구 효율화를 위해 정부출연기관에서 발간하는 메타 데이터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등록하고 활용도가 높은 고가의 해외학술 D/B를 점차 늘려나가며, 학술정보망 구축을 위해 미국의 OCLC, 일본의 NIL, 영국의 대영도서관 등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것도 대학 도서관 활성화의 주요 맥락이다. 그러나 문제는 아직도 남아있다. 교육부는 현재 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10월 중 열리는 인적자원개발회의에서 구체화하고 내년 추경 예산으로 3백억원 정도의 별도 예산을 확보해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부처간 이견이나 조율이 끝나지 않아 당장 구체화되기는 어려울 전망. 교수들의 학습법이나 연구관행 등 대학 도서관 활용에 대한 그간의 인식 역시 쉽게 바뀔 문제는 아니어서 밤 늦게까지 연구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대학 도서관의 모습을 연상하기에는 아직도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표> 세계 주요 대학 도서관 장서 보유 현황 (단위 : 권) -구분 /하버드대(미)/일리노이대(미)/버클리대(미)/동경대(일)/캠브리지대(영)/북경대(중)/서울대(한국) -장서수/14,437,000 / 9,470,000 / 9,108,000 / 7,628,260 / 7,023,157 / 4,300,000 / 2,110,000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