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문제는 구조적 문제' 인식 확산… 청년정책·대학정책 한 목소리

[한국대학신문 송보배 기자] 2030 청년세대에 대한 위기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청년 연대 구축 움직임이 탄력을 받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20일 8개 청년단체는 청년정치세력화를 통해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청년혁명’을 발족했다. 청년혁명은 일자리 문제를 중심으로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10대 법안 상정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유지훈 청년혁명 준비위원장은 “전국 50개 대학에 선거 혁명 네트워크를 구축해 투표참여를 독려하고 나아가 직접 추진단을 꾸려 우리 목소리를 스스로 대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대학 총학생회도 뭉쳤다.

서울‧수도권 대학 10여 개 총학생회는 최근 대학교육지키기네트워크(가칭)를 구성하고 대학정책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은 지난 20일 교육부가 '사회수요 맞춤형 대학교육 강화'를 핵심으로 한 업무보고를 발표한 직후 '교육현실 보고대회'를 열고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코어 사업 추진을 비판하기도 했다.  

오규민 한양대 총학생회장은 “대학전반 문제에 상식적으로 대응을 할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었다”며 “학생들이 교육부의 고등교육정책에 대해 사안마다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참가한 청년·학생들은 네트워크 구축의 배경으로 개별 학생단체 단위 대응의 한계를 들었다.

유지훈 위원장은 “사회의 청년문제에 대해 개별 단체 별로 대응해도 달라지는 것이 없었다. 자살하는 청년들이 숱하게 생겨날 정도로 청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데, 정치가 해결되지 않으면 답을 구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며 발족 배경을 설명했다.

김동규 한국외대 총학생회장은 “교육부 정책으로 인해 모든 대학이 영향을 받고 있다. 한 대학 단위로는 이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의 청년정책 부재, 교육부의 강도 높은 대학구조개혁 기조가 청년연대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심현덕 참여연대 간사는 “청년연대의 확산은 청년문제가 구조의 문제이고, 제도의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각자도생으로는 청년문제가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청년세대 스스로 자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