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가 올해 초 작성, 교육부에 제출했던 것으로 밝혀진 '연세대학교 대학발전을 위한 기여 우대제 실시 계획(안)'은 △기여의 범위 △기여우대의 내용 △기여입학제 시행시 고려사항 △기여·기부금 사용의 투명성 확보 △기여심사평가위원회 구성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 제도 시행을 위한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건의안까지 첨부돼 있다.

논란이 일고 있는 '물재적 기여자'는 "20억원 이상 기부금 또는 토지, 건물, 기타 물재를 기여한 경우"로 명시돼 있으며, '비물재적 기여자'는 알렌, 언더우드, 세브란스 등 대학 설립 기여자와 역대 이사장, 총장 등 기타 대학의 유지·발전 기여자로 규정하고 있다.

연세대는 문건에서 이들 기여자들에 대해 입학지원, 시설이용, 교육프로그램 참여시 우대할 것이라고 밝혔고, "기여자 직계자손에 대한 대학입학특별전형은 이른바 경제력과 대학입학을 맞 교환하는 기부금 입학제와는 엄격히 구별되는 것"이라며 "기여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때부터 당해 기여자의 자손에 대학발전의 보은적 차원에서 도입되는 제도"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기여입학제는 결국 돈 받고 학생 입학시키기가 핵심이다. 연세대의 계획은 정원의 2%인 80명을 최소한도 20억씩 받고 합격시켜 1천6백억을 마련하겠다는 것.

1년에 4천명이 입학하고 그들의 등록금이 1, 2학기 합해 5백만원이라고 치면 1년에 2백억이라지만 이를 어떻게 사용할지도 불분명하다. 특히 대학에 선뜻 20억을 쾌척할 수 있는, 국내에 몇 안되는 집 자손을 유치해 '보은'도 하고, 대학의 열악한 재정난을 타계해 보겠다는 심사도 '거액'이 개입된 '보은'의 순수성이 어느 정도 지켜질지 의심받는 상황.

더구나 연세대는 누적이월적립금, 기부금, 국고보조금에서 국내 대학중 1, 2위를 다투고 있는 부자 대학이다.

99년 현재 누적이월적립금은 법인 1천93억6천여만원, 학교 1천2백50억8천여만원으로, 총 2천3백44만4천여만원에 달하고 있어 전국 사립대 중 2위를 달리고 있으며, 99년 1년동안 개인·기업 등이 국내 사립대에 기부한 기부금 5천8백80여억원 가운데 10%에 육박하는 5백82억원을 받아 사립대 중 기부금 실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표 참조>

뿐만 아니라 지난 4년간 국고보조금 4백44억7천여만원을 지급 받았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정부에서 지급된 국고보조급 총액 1조1천6백56억원 중 4%에 달하는 액수로, 전국적으로는 서울대에 이어 2위, 사립대 중 최고다.

기업과 개인이 특정대학을 선정해 지급하고 있는 기부금은 물론이거니와 그나마 '공공성'의 원칙에 따라 지급된다는 국고보조금도 서울지역 몇 개 대학에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물재적 기여입학'을 추진하려는 연세대의 움직임은 '집중'에서 벗어나 있는 많은 대학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확대 조장하는 발상이다.

연세대는 기여입학제가 사학의 고질적인 재정난을 해소해 줄 방안이라고 주장하지만, 국내 최고의 '부자 대학'이 국민 위화감 조성과 물신 풍조 조장, 학벌주의와 서열화 고착 등 갖은 비난 여론을 거스르면서까지 이를 강행하려는데 대해 더 이상 설득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대학가에서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은영 기자>.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