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양지원‧구무서 기자]교육부 신설사업인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이 기틀을 잡아가고 있는 초기 단계에도 불구, 그 어느 쪽으로부터도 환영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애당초 전문대학정책과에서 전문대학 지원책의 일환으로 짜인 판이었지만, 예상과 달리 4년제로도 그 대상이 확대되며 대체 누구를 위한 국고 사업인지 오리무중 해졌다. 심지어 일반대 일각에서도 사업 운영 효과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어 전문대학에서는 황당하다는 지적이다.

■“기업 참여율 저조…확보 자체가 어려워” =일반대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바로 사회맞춤형 학과의 실효성이다. R&D 중심의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일반대에서 이 모델을 제대로 적용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A대 기획처장은 "사회맞춤형 학과는 원래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하려던 것 아닌가"라며 "국고 지원을 해 준다고 하니 준비는 해야겠지만 이 모델이 우리 대학에 잘 어울리는 것인지는 모르겠다"고 귀띔했다.

한편 인문학에 중점을 둔 대학들의 고민은 좀 더 심오하다. 튼튼한 밑받침이 돼 줘야 할 기업체의 참여율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B대 산학협력단 팀장은 "지난해 대기업 통신사와 계약학과 개설을 추진했지만 산업체의 거부로 실패했다"며 "우리처럼 인문학에 강점을 갖고 있는 대학은 기업 섭외 자체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학생들의 눈높이와 일반대를 바라보는 기업의 모두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야 하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B대 산학협력단 팀장은 "사회맞춤형 학과는 기업과 대학의 네임 밸류가 모두 중요하다. 학생들은 최대한 인지도가 있는 기업에 입사하고 싶어 하고 기업 역시 이름 있는 대학 출신을 눈 여겨 보지 않겠느냐"라며 "제조업 관련 학과라면 모르겠지만 우리 대학처럼 인문학 중심의 교육을 하는 곳에선 학생과 기업의 눈높이를 모두 충족하는 게 여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지방대에서는 지역적 불리함을 내놓으며 사업 운영의 효율성 여부를 따졌다. 여건상 기업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은 탓이다.

C대 기획처장은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기업체 수도 적고 인프라도 열악하다"며 "우리 대학도 지역 내 다수의 업체와 협력해 계약학과를 만드는 방안을 모색하고는 있지만 기존의 일대일 형식의 계약학과는 찾기 어렵다고 본다" 전했다.

■“주무부서 넘어간 것부터 신뢰 잃어” =전문대학가는 일반대와는 입장이 사뭇 다르다. 교육부가 야심차게 사업 추진을 선언한 것과 달리 엇박자로 나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책 자체에 대한 신뢰를 잃은 탓이다.

교육부는 지난달에도 사회맞춤형 사업 추진 방안 마련을 위한 대학 현장 방문을 목적으로 수도권과 경상권, 호남권 등 권역별 6곳 전문대학의 시설 기자재 현황을 살피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가졌다.

취창업교육지원과에서 참가해 둘러봄으로써 주무부서가 전문대학정책과에서 이관됨을 알렸고 사업 계획 초반과 다르게 흘러가는 모양새에 전문대학들은 긴장한 모습을 보였다.

A 전문대학 교수는 “부총리는 1200억 지원을 약속했지만 현실과는 다소 간극이 있는 긍정성만 드러낸 것 같아 솔직히 신뢰가 가진 않는다”라며 “사업 방향이며 예산 확보가 원래 취지대로 갈지 미지수”라고 우려했다.

B 전문대학 교수는 “교육부는 사업 성격상 전문대학에 적합하다고는 하지만 기재부로부터 예산 확보 문제가 있기 때문에 노력하는 데 반해 뜻대로 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본다”라며 “최대한의 국고를 따내는 것과 Post-LINC 사업과의 연계, 주문식 교육과정의 활성화 등에 대한 연구가 냉정하게 진행돼야 할 시점”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