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부설 한국뇌연구원 구자욱 박사, 중국 연구진과 공동으로 연구 발표

▲ 구자욱 한국뇌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대학신문 김정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중국 연구진과 공동으로 만성 통증의 원인이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신경세포에 따른 것임을 설명하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부설 한국뇌연구원(원장 김경진)은 이 연구원 구자국 책임연구원과 중국 쉬저우의대의 준리 카우 교수의 한·중 공동연구진이 “뇌의 중변연계 보상회로 시스템(Mesolimbic reward system)이 통증 감각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리를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신경성 만성 통증을 갖고 있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중뇌에 위치한 중변연계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와 뇌성장단백질(BDNF)이 고통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중변연계는 특정 물질에 의해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보상경로’로도 알려졌다. 우울증 등 기분장애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집중적으로 분비하는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많다. 때문에 감정과 기분을 조정한다고 보고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한 정확한 원리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실험동물에서 신경성 통증이 일어날 때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도파민 신경세포를 광유전학 기술 또는 약물을 통해 억제하자 통각 과민증이 줄어들었다. 연구진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활성이 만성 통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 중변연계 시스템이 통증 감각을 조절하는 원리. 연구진은 신경성 만성 통증을 갖고 있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중뇌에 위치한 중변연계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와 뇌성장단백질(BDNF)이 고통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사진=한국뇌연구원)

이와 함께 연구진은 중변연계에서 BDNF 단백질이 늘어나자, 도파민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BDNF 단백질을 제거하자 통증이 완화되는 ‘항통각효과’가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구자욱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뇌에서 만성 통증의 조절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